|
중기부의 이번 추경안 지원은 크게 △온라인·비대면 분야 집중 육성 △스마트 대한민국 구축 △지역경제·골목상권 경기 진작 △정책금융 역할 강화 △그린 창업·벤처기업 육성 기반 마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중기부는 비대면 분야 창업·벤처기업이 혁신 창업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인프라 확충, 투자환경 확대 등을 위한 예산 5817억원을 반영했다. 창업·벤처기업은 대면 분야 기업 대비 매출과 신규 고용 등에서 2~3배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게 중기부 설명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소·벤처기업들의 밀집 거점 1562개소에 공동화상회의 인프라를 구축, 연말까지 8만 여개 중소·벤처기업이 재택근무와 화상회의 등 비대면 업무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바우처 프로그램(연 400만원 규모)으로 3114억원을 투입한다. 강성천 중기부 차관은 “기존 화상상담·회의 시스템은 화질이 낮은 문제가 있었고 통역 지원 서비스가 떨어졌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언제까지 갈진 모르지만 비대면 수출, 전시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번 추경을 포함해 총 4000억원을 출자해 1조원 규모의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를 신규로 조성하고 비대면 분야의 창업·벤처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강 차관은 “비대면 분야 창업 기업은 급속히 클 가능성이 있다. 비대면 분야를 중심으로 하되, 디지털·바이오·그린 등 여러 분야도 걸쳐 투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또 다른 미래 먹거리인 그린 유망 창업·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319억원도 반영했다. 그린·디지털 분야 스타트업 및 혁신기업을 지원하는 ‘그린 스타트업 타운’을 조성한다는 계획에 따라 복합허브센터 1개소 설계비(5억원)도 포함했다. 여기에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유망 창업·벤처기업을 대상으로 ‘R&D→실증→사업화’ 단계 기업의 성장 전 주기를 지원하고 올해 20개사를 시작으로 그린 뉴딜 선도 100대 유망기업을 육성한다. 강성천 차관은 “2022년까지 100곳의 그린 분야 기업을 선정하고 환경부와 같이 협업과제로 추진한다. 중기부가 50곳, 환경부가 50곳을 선정해 집중 발굴한다”고 했다.
여기에 소상공인·중소기업이 이른바 ‘D(Data)·N(Network)·A(AI)’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505억원을 추가로 반영한다.
소상인을 위해서는 스마트 미러·물류·서빙·오더 등 스마트 상점을 5400여개 점포에 확대 보급(기존 1000개→확대 6400여개 점포)한다. 소공인 작업장에는 수작업 공정에 기기자동화,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을 접목한 스마트화 지원을 60개 작업장에 확대 보급(기존 20개→확대 80개 작업장)한다. 전통시장의 활력 제고를 위해 2조원 규모 온누리상품권의 10% 할인 판매를 추진한다.
제조 중소기업은 공정모니터링 단계의 스마트공장을 공정 제어를 비롯해 자동 공정개선까지도 가능하도록 고도화하는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공장을 하반기 중 20개 지원한다. 수출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동시에 상품디자인 개발, 마케팅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수출바우처 프로그램을 추가로 900여개 기업(기존 2934→확대 3836개)을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