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지정
삼국시대 전략적 요충지…다양한 유물 출토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삼국시대 전략요충지인 ‘장수 침령산성’이 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은 전라북도 장수군에 위치한 ‘장수 침령산성’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2일 밝혔다.
| 장수 침령산성 원경(사진=문화재청). |
|
‘장수 침령산성’은 둘레 497m의 산성으로 7세기 초 백제가 축조한 후 고려 초기까지 사용했다. 낙동강 유역의 신라세력과 금강 유역의 백제 세력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침령’은 침령산성이 위치한 고개의 지명이다. ‘만기요람’ ‘대동지지’ ‘해동지도’ ‘대동여지도’ 등의 문헌자료에 ‘침치’ ‘침치고성’ ‘침령’ 으로 기록된 바 있다. 현재는 침령산성으로 불린다.
침령산성은 2005년 정밀지표조사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5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집수시설, 건물지, 치(성벽의 일부를 돌출시켜 적병을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시설), 문지(문이 있던 자리) 등의 유구와 유물이 발견된 바 있다. 특히 산성 내부에서 발견된 3기의 집수시설은 축조기법이 정교하고 규모도 커 고대 집수시설 축조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
| 장수 침령산성 집수시설 (사진=문화재청). |
|
북고남저의 지형에 축조된 침령산성은 남벽과 북벽이 길고, 동벽은 짧고 서벽이 긴 부정형이다. 현재는 남벽과 북벽, 동벽 일부구간이 남아있으며 높이는 약 5~10m이다. 집수시설과 건물지에서는 다량의 유물도 출토됐다. 특히 집수시설에서는 전라북도 동부지역의 지배체제 변화 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직구단경호’(백제) ‘소호’(신라, 작은 단지) ‘청자 완편’(고려, 사발 조각) 등이 출토된 것을 비롯해 기와, 금속 열쇠, 목간 등 다양한 종류와 시기의 유물이 나왔다.
침령산성은 삼국시대부터 고려 초까지 한반도 고대국가 간의 치열한 각축전이 일어난 역사적 장소다. 출토유물 등을 통해 정치체의 지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난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 장수 침령산성 출토 토기 (사진=문화재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