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청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평균연령은 만 26.4세다. 이들의 미취업기간은 19.4개월로 확인됐다. 가구 건강보험 평균 납부금액은 직장 8만 3011원, 지역 7만 920원으로 확인됐다. 이를 가구 소득으로 환산하면 직장가입자 268만원, 지역가입자 207만원 수준으로 각각 3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75%, 58%에 해당한다. 가입비율은 직장가입자 4043명 64.1%, 지역가입자 2266명 33.9%였다.
신청자 대부분은 취업성공패키지에서 지원하지 않는 어학원 및 자격증 시험, 취업관련 시험공부 등 역량강화 활동을 목표로 제시했다. 또 시나리오 공모전 준비 등 진로활동도 일부 포함돼 있었다.
서울시는 “일각에서 우려하는 단순 개인활동은 신청원서에서 확인하지 못했다”며 “구체적인 활동분석은 사업종료 후 전문연구기관과 함께 분석·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시는 신청자의 소득수준, 미취업기간, 부양가족을 기준으로 선발해 최종지원자 3000명을 8월 초 확정해 활동지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3000명에게 취·창업과 역량강화 및 진로모색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전효관 서울시 서울혁신기획관은 “신청자의 구체적 사례들을 보니 우리 사회 청년들의 현실이 예상보다 더 심각한 것을 확인했다”며 “향후 청년들의 구직활동을 더욱 폭 넓게 지원해줄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수당은 서울시가 만 19~39세 미취업 청년 3000명에게 최장 6개월간 월 50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보건복지부는 서울시의 청년수당 사업에 대해 ‘부동의’를 통보하고 직권으로 시의 청년수당 정책실행을 취소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시는 “중앙정부가 직권으로 정책실행을 취소하면 대법원에 소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