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으로 서울·경기에서만 한해 30세 이상 성인 1만5,000여명이 기대수명을 채우지 못한 채 조기에 사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제2차 대기관리정책’이 추진 중이지만, 아직은 뚜렷한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만큼 개개인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에 주의하는 게 최선이라고 강조한다. 정부에서도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라는 권고 외에는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흔히들 미세먼지라고 하면 중국발 황사를 생각한다. 하지만, 미세먼지는 우리 주위에 항상 있는 먼지 중에 아주 작은 먼지를 말한다. 먼지를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이유는 독성과 관련이 크기 때문이다. 100μm가 넘는 먼지들은 대개 코 또는 인후부에서 걸러지고 20μm 정도의 먼지는 기관지에서 걸러진다. 이들 먼지는 눈과 코에 자극 증상을 일으키지는 하지만 몸 안으로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2.5μm 이하의 초미세 먼지는 폐 속에서 공기와 혈액이 만나는 허파꽈리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독성이 큰 편이다. 실제로 인하대병원 임종한 교수팀의 이번 연구에서 대기오염에 의한 폐암 환자가 연간 1천403명이나 발생한 것은 초미세먼지의 독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대기오염에 사망자수 증가는 비단 우리만의 문제는 아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3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전세계 사망자 8명 중 1명은 실내외 공기오염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즉 700만명이 공기오염으로 사망했고, 이 가운데 370만명이 대기오염, 특히 미세먼지 때문에 조기에 숨졌다는 분석이다.
이중에서도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폐질환, 폐암 등이 심각한 질환으로 꼽혔다. 이런 이유로 WHO 산하 암연구소는 미세먼지 자체를 폐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정의한 바 있다. 미세먼지가 심혈관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폐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유해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항산화능력은 감소하는 상태)와 염증반응이 전신적으로 퍼져 혈관세포를 손상하거나,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깨져 혈관이 수축되고 부정맥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설명된다. 또 작은 입자들이 혈액 속으로 직접 들어가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미국심장학회는 미세먼지에 몇 시간에서 몇 주만 노출돼도 심혈관질환과 이로 인한 사망 위험이 크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접촉을 최소화하고, 실외에서 운동과 같은 심한 신체활동은 꼭 피해야 한다. 호흡량이 많아져서 평소보다 훨씬 많은 먼지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선책은 외출을 삼가는 것이다. 만약 외출해야 한다면 미세입자를 걸러내는 기능이 있는 ‘보건용 마스크’를 써야 한다. 보건용 마스크는 약국, 편의점, 마트 등에서 살 수 있으며 제품 외부 포장에 ‘의약외품’이라는 글자와 ‘KF80’, ‘KF94’ 표시가 있다.
권호장 단국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초미세먼지 배출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자동차 배기가스로, 자동차 운행 자체를 줄이려는 국민적 공감대가 없으면 농도를 낮추기 어렵다”면서 “공기 중 미세먼지는 결국 우리 스스로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말고, 미세먼지를 줄이려는 사회적 운동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