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13년도 지배구조 현황’ 자료를 보면 총수가 있는 41개 집단의 계열사 1429곳 가운데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한 회사 비율은 26.2%(375개)로 지난해(27.2%)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재벌총수가 이사로 등재한 회사 수 비율은 11.0%(157개)로 전년(11.0%)보다 0.1%포인트 하락했고, 재벌 2∼3세가 이사로 등재한 곳의 비율은 9.0%(128개)로 전년(8.6%)보다 조금 늘었다.
총수는 평균 3.8개의 계열사에 이사로 등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삼성, 현대중공업(009540), 두산(000150), 신세계(004170), LS(006260), 대림, 태광, 이랜드 등 8개 집단의 경우 총수가 이사로 등재한 계열사가 한 곳도 없었다.
공정위 관계자는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 감소는 신규 편입집단의 이사등재 비율이 낮은데 기인한다”면서도 “일부 집단은 총수가 이사로 전혀 등재하지 않는 등 권한 행사에 따른 책임 추궁이 어려운 지배구조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장사 238개의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48.7%로 전년(48.5%)보다 0.2%포인트 늘었다.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도 91.1%로 전년(90.6%)보다 0.5%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 5월 일부터 올해 4월 30일까지 1년간의 이사회 안건 6720건 중 사외이사의 반대 등으로 원안대로 처리되지 못한 안건은 불과 25건(0.37%)으로, 1년 전(36건)보다 오히려 줄었다.
부결된 안건은 전년도(13건)보다 적은 5건에 불과했다. 이밖에 조건부 가결(2건), 보류(4건), 수정의결(14건) 등 영향력을 행사한 경우도 20건밖에 없었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은 2010년 46.3%, 2011년 47.5%, 2012년 48.5%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지만 실질적인 견제 역할은 사실상 거의 하지 못하는 셈이다.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등 이사회 내 각종 견제·감시기구도 외형적으로는 1년 전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년간 이들 4개 위원회에 상정된 안건 1114건 중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부결 2건(감사위·보상위), 보류 1건(감사위) 등 단지 3건에 불과했다. 수는 늘었지만, 실질적인 견제·감시 역할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제도도입 수준은 높아졌지만 이런 지배구조가 총수일가의 사익추구 행위 등 각종 불합리한 경영관행을 적절히 제어하고 있는지는 불확실하다”며 “소액 주주의 주주권 행사도 적극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주주에 의한 경영감시가 활발히 이뤄진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
▶ 관련기사 ◀
☞코스피, 2000선 육박..외국인·기관 동반 매수
☞무보, 사우디 화력발전 건설에 4억弗 금융 제공
☞현대重, 원통형FPSO 세계일류상품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