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하위권 합계출산율에 올해 상반기만 9.3만명 순유출
반면 세종 1137명·충남 1034명·충북 231명등 순유입 인구 ↑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이 기사는 이데일리 홈페이지에서 하루 먼저 볼 수 있는 이뉴스플러스 기사입니다.
대전시의 인구 감소가 갈수록 빨라지면서 경제·사회 등 도시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전국 최하위권 수준인 합계출산율에 인구의 순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올해 상반기에만 9만 3000여명이 타 지역으로 터전을 옮겼습니다. 대전시의 인구는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기준 145만 9000명으로 5년 전인 2015년 151만 7000명과 비교해 4.1% 줄었습니다. 대전의 인구 감소는 직장과 주거 등을 이유로 대전에서 세종과 수도권행을 택하는 시민들이 늘었고, 서비스업 중심의 도시가 갖는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 속절없는 인구감소에 노답 대전시 올해만 9만명 순유출 [그래픽=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인구이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의 합계출생률은 0.81명으로 전년도의 0.88명과 비교해 0.07명 하락했고, 전국 평균인 0.84명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대전보다 합계출산율이 낮은 지역은 서울(0.64명)과 부산(0.75명) 등 2곳 뿐이었습니다. 대전의 합계출산율은 2015년 1.28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6년 1.19, 2017년 1.08, 2018년 0.95, 2019년 0.88, 2020년 0.81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했습니다.
| 정부가 정부대전청사에 있던 중소벤처기업부의 세종시 이전을 결정한 가운데 허태정 대전시장(왼쪽)이 지난해 12월 세종시에 위치한 행정안전부 앞에서 중기부 이전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
|
출생아 수에서도 대전은 2012년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2012년 1만 5279명의 신생아가 태어난 후 2013년 1만 4099명, 2014년 1만 3962명, 2015년 1만 3774명, 2016년 1만 2436명, 2017년 1만 851명을 기록했습니다. 2018년부터는 9337명으로 1만명대가 깨졌고, 2019년 8410명, 지난해에는 7481명으로 급감했습니다. 출생 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09.7명으로 제주(110.1명)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높았습니다.
| 대전 한밭종합운동장 내 한밭야구장 전경. 한화이글스의 홈구장인 한밭야구장은 시설 노후화와 협소한 공간이라는 고질적인 문제점을 않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
|
반면 사망자는 늘어나며, 인구 감소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2분기까지 대전지역 사망자는 3775명으로 전년 동기인 3718명보다 1.5% 늘어나 전국 평균인 0.2%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특히 타 지역으로의 순유출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지난달에도 인구 순유출을 기록하면서 14개월 연속 줄어들었습니다. 지난달 대전에서 전출된 인구는 1만 6190명이며, 이 중 순유출은 848명입니다. 이는 전체 인구의 0.7%가 빠져나간 것으로 지난해 동월(838명)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입니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대전에서는 9만 3000여명이 순유출됐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세종은 1137명이 순유입되며, 전체인구대비 3.7%가 증가했습니다. 충남과 충북도 각각 1034명(0.6%), 충북은 231명(0.4%)가 순유입되며, 인구가 오히려 늘었습니다.
| 대전시와 지역 정치계, 시민단체 인사들이 K-바이오 랩허브의 대전 유치를 위한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정부는 K-바이오 랩허브 입지로 인천시를 선정했다. 사진=대전시 제공 |
|
이에 대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내수가 위축된 가운데 세종시 등 인근 도시의 빠른 성장에 따라 대전은 주거 및 서비스 공급 중심지로서의 경쟁력을 점차 상실하면서 서비스업 수요기반이 계속 약화됐다”고 전제한 뒤 “주요 경제활동 연령층인 30~40대가 주거·주택, 일자리 등을 이유로 대거 타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서비스업의 수요 기반이 크게 약해졌다”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그러면서 “인구유출 추세를 완화하기 위해 낙후지역의 정주여건을 개선하는 한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경쟁력 있는 신산업 성장을 지원하고, 연구개발 투자와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앞으로 지역 정치권 인사들과 대전시 공직자, 경제주체들이 시급히 풀어야할 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