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이통사의 영업정지 처분에 휴대폰 대리점·판매점 사업자들은 당분간 휴대폰 시장이 침체될 것으로 우려했다.
특히 유통업체 사업자들은 영업정지 기간이 생각했던 것보다 길어진 것을 걱정했다. 약 두 달동안 한 통신사의 휴대폰을 팔지 못할 경우 얼추 계산해 20~30%의 매출이 감소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용산전자상가의 OO통신 사장은 “갤럭시S3가 17만원으로 판매된 후 이 정도 수준까지 떨어지길 기다리고 있는 대기수요가 상당하다”면서 “이렇게 판매정지까지 일 경우 시장은 상당기간 동안 ‘얼음’상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버스폰’ 카페 등 온라인판매업체는 좀 더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방통위가 지난 7~9월까지 보조금 실태를 조사한 결과 휴대폰 구매고객인 20~50대 중에서 인터넷을 통해 구입한 수요가 70%에 달했다. 이들은 전체 가입자 대비 약 1.5~1.8배 보조금을 더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업체의 OO카페 운영자는 “방통위 제재가 가시화되면서 이미 판매가 중단된 곳이 상당수 있다”면서 “그동안 혜택을 본 인터넷업체들의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물론 이번 제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통신3사가 영업정지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상황에 따라 편법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LG유플러스의 영업정지 기간 동안 SKT나 KT쪽에서 영업정지 기간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과감한 마케팅 전략을 쓸 수도 있다. 특히 기기변경은 가능한 만큼 기기변경쪽에 보조금 정책이 쏠릴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또 영업정지 되기 전 유통점이 가개통 형식으로 가입자를 확보한 후 영업정지 기간에도 판매하는 방식도 가능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가입자 확보에 목을 맨 통신사 입장에서 어떤 방식으로도 편법을 쓸 가능성이 짙다”며 “방통위가 정지기간 동안 철저하게 감시·감독을 하지 않는다면 눈 가리고 아웅하는 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일 국내에서 판매가 시작된 애플의 아이폰5는 이번 조치로 크게 타격을 입지는 않을 전망이다. 아이폰5 수요가 대부분 기기변경 위주이고, 지금까지 판매량이 예상보다 저조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 아이폰5는 현재까지 40만대 정도로 예상치의 절반 수준으로 개통된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