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aily 김병수 안승찬기자] 외환카드 지원방안이 난항을 겪고 있다. 궁극적으로 외환은행 대주주인 론스타와 외환카드 대주주인 올림푸스캐피탈의 의사가 결정적인 변수가 될 전망인 가운데, 이들이 분명한 입장 표명을 미루면서 시장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지원의 내용은 사실 복잡하지 않다. 대주주인 외환은행이 외환카드 증자에 참여하거나 은행으로 흡수합병하는 것이 전부다. 감독당국도 이 같은 틀에서 론스타와 외환은행의 의사결정을 해 줄길 바라고 있다.
다만, 외환은행에 1조4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한 론스타 입장에서는 어떤 방안도 간단치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현재까지 외환카드나 외환은행은 유상증자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그래야 외환카드 주주인 올림푸스캐피탈도 계속 끌고 갈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또 그래야만, 올림푸스도 그동안의 경영책임에 대해 책임을 지는 모습으로 추가 자금을 넣는 모양을 갖출 수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1조7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한 론스타는 이 자금이 외환은행의 정상화에만 쓰이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외환은행이 1000억원의 흑자가 예상되고, 뉴머니로 각종 경영지표를 안정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는 했으나 앞으로 추가 부실채권 정리 등 구조조정을 위해선 자금이 비축돼 있어야 한다는 논리다.
또한 외환카드에 얼마의 자금이 추가로 들어가야 하는 지 분명치 않다는 것도 고민거리다. 외환은행 고위 관계자는 “LG의 경우 1조원의 자금을 투입한다고 하지 않느냐”며 “볼륨이 다르기는 하지만 외환카드에 들어가야 할 돈이 얼마인지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특히 “모든 계산이 내년 경기전망과 맞물려 있어 쉬운 의사결정이 아니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만약 일정 자금을 외환카드에 떼 줄 경우 본체인 은행의 안정성에도 흠집이 날 수 있다는 우려가 은행의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는 론스타의 입장과도 어느 정도 연결돼 있는 것으로 관측되는데, 론스타가 가능한 외환카드 문제에 대해선 한발 물러서 있기를 원하는 것과도 맥을 같이하는 대목이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론스타가 외환카드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아니다”며 “외환은행이 주주니까 외환은행이 입장을 결정해야 한다”는 말로, 론스타측과의 어려운 협의과정을 소개했다.
만약, 증자방안이 실행되지 않으면 차선으로는 은행으로의 합병방안이 추진될 수 있다. 국민은행의 전례에 따라 외환카드를 은행으로 흡수합병하는 것이다. 감독당국도 론스타와 외환은행이 외환카드를 흡수하겠다고 할 때, 굳이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이 방안에 대해서도 론스타의 입장은 긍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외환은행에 뉴머니를 투입하면서 클린화작업을 하고 있는데, 엄청난 부실을 은행 본체가 떠안을 수는 없다는 계산이다.
상황이 이 처럼 흐르자 감독당국은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김중회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이날 외환카드 문제에 대해 “증자와 합병 등 여러가지 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대주주끼리 협의해 문제가 잘 해결되리라고 본다”고 말했으나, 실무진에서의 반응은 사뭇 다르다.
이미 외환카드(038400)가 외환은행(004940)에 증자 지원을 요구하면서, 현금서비스 한도 축소 등을 운운하는 상황으로 감정이 치닫고 있기 때문에, 언제까지 대주주들간의 협의를 지켜보기만도 어렵다는 설명이다.
외환카드가 당장 현금서비스 한도 축소 등을 실행에 옮기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지만, 이 발언 자체만으로도 다른 카드사에 상당한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전후 사정이야 어찌됐건 외환카드가 현금서비스 한도를 줄이면 다른 카드사에도 연쇄 반응이 불가피하다”며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감독당국에서는 대주주들의 회생방안이 조기에 도출되지 않으면 당국도 정책적 수단을 동원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힘을 얻기 시작하고 있다. 대주주들이 책임을 방기한채 외환카드에 유동성 문제가 본격화될 경우 곧바로 조치에 들어가, 대주주의 책임을 묻고 강제 합병 등의 방법이 동원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