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 스프레드 전략을 사용할 시기는 주식시장 상승이 예상될 때이다. 그러나 급등이 아닌 완만한 상승이 예상될 때이다. 다시 언급하겠지만, 시장의 급등이 예상된다면 단순 콜 매수 전략이 수익률 측면에서는 성과가 더욱 뛰어나다.
콜을 이용한 강세 스프레드의 구조는 낮은 행사가격의 콜을 매수하고, 높은 행사가격의 콜을 매도하는 것이다. 이를 옵션의 가격 측면에서 다시 표현해 보자. 콜 옵션은 행사가격이 높을수록 외가격 옵션이 되며, 따라서 옵션 가격이 낮다. 결국 위에서 표현한대로 낮은 행사격의 콜옵션을 매수한다는 것은 두 개의 콜 옵션 중 상대적으로 비싼 옵션을 매수하고, 싼 옵션을 매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내가격 매수/ 등가격 매도” 또는 “등가격 매수/ 외가격 매도” 형태인 것이다.
반면, 풋을 이용한 약세 스프레드 전략은 주식시장의 완만한 하락이 예상될 때 이용하는 전략이다. 풋을 이용하여 약세 스프레드 전략은 높은 행사가격의 풋옵션을 매수하고, 낮은 행사가격의 풋옵션을 매도하는 것이다. 강세 스프레드와 반대로 되어 있어 다소 혼란스러운 것은 사실이나, 이를 다시 옵션의 가격으로 표현하면 강세 스프레드 구조와 같다. 즉, 풋옵션은 행사가격이 높을수록 가격이 비싸므로 높은 행사가격의 풋옵션을 매수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풋옵션을 매수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따라서 콜을 이용한 강세 스프레드 구조와 마찬가지로 풋을 이용한 약세 스프레드 전략도 비싼 풋옵션을 매수하고, 싼 풋옵션을 매도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콜을 이용한 강세 스프레드 전략
= 낮은 행사가격의 콜옵션 매수 + 높은 행사가격 콜옵션 매도
= 상대적으로 비싼 콜옵션 매수 + 싼 콜옵션 매도
= (내가격 콜옵션 매수 + 등가격 콜옵션 매도)
또는 (등가격 콜옵션 매수 + 외가격 콜매도)
풋을 이용한 약세 스프레드 전략
= 높은 행사가격의 풋옵션 매수 + 낮은 행사가격 풋옵션 매도
= 상대적으로 비싼 풋옵션 매수 + 싼 풋옵션 매도
= (내가격 풋옵션 매수 + 등가격 풋옵션 매도)
또는 (등가격 풋옵션 매수 + 외가격 풋매도)
콜을 이용한 강세 스프레드 전략의 실례를 들어서 살펴 보자. 가격 동향은 아래와 같다.
행사가격 87.5 콜 가격 : 1.18 포인트
행사가격 90.0 콜 가격 : 0.43 포인트
코스피200 : 87.58
강세 스프레드 전략과 같은 방향성 전략인 콜옵션 매수 전략과 비교해 보자. 아래 그림은 등가격인 행사가격 87.5 콜옵션을 1.18포인트에 매수한 만기시 손익곡선이다.
[행사가격 87.5 콜 만기시 손익구조]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콜옵션 매수의 손익구조의 특성은 “무한한 이익, 제한된 손실” 이다. 즉, 시장이 큰 상승세를 보인다면 무한한 이익을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예상과는 달리 시장이 하락한다면 콜옵션 매수 비용인 1.18포인트만 손해를 보면 되는 것이다.
반면,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세 스프레드 전략은 “제한된 이익, 제한된 손실” 이라는 손익구조를 보이고 있다.
[행사가격 87.5, 90.0 콜을 이용한 강세 스프레드 만기시 손익구조]
따라서 시장이 대단히 강세를 보인다면 강세 스프레드 전략의 성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제 옵션 매수 비용 측면에서 살펴보자. 위 사례에서 87.5 콜옵션을 1계약 매수하는데 드는 비용은 1.18포인트이다. 그러나 강세 스프레드를 매수하는데 드는 비용은 0.75포인트로 낮아진다. 한편, 콜옵션 매수의 최대이익은 “무한대” 이나, 강세 스프레드 전략의 최대이익은 1.75임을 알 수 있다.
결국 옵션 매수 비용과 최대이익 측면에서 살펴 본다면 강세 스프레드 전략은 옵션을 싸게 사는 대신 “무한한 이익”을 포기하는 형태인 것이다. 하지만 강세 스프레드 전략의 수익률을 살펴보면 최대 133.33% 이다. 강세 스프레드 전략도 상당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것이다.또한 만약 시장이 예상과는 달리 하락한다면 단순 매수전략의 손실액은 1.18 포인트 이지만, 강세 스프레드 전략의 손실은 0.75에 불과하다.
[단순 콜옵션 매수와 강세 스프레드 비교](단위: 포인트)
----------------------------------------------
매수비용 최대이익 최대손실
----------------------------------------------
콜매수 1.18 무한대 1.18
강세스프레드 0.75 1.75 0.75
----------------------------------------------
따라서 시장의 완만한 상승이 예상되나 내가격 또는 등가격 옵션의 매수 비용이 비싸다고 생각될 때 강세 스프레드 전략도 상당히 매력적인 전략이라 볼 수 있다. 다소 아쉬운 점은 시장 급등시 무한한 이익 기회를 놓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시장이 급등할 때가 많지 않기 때문에 비싼 콜옵션을 사는 것 보다 강세 스프레드 전략을 보다 자주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또한, 강세 스프레드 전략의 장점은 시장 상황이 예상과 달리 움직일 때, 포지션을 시장상황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단순 콜 옵션을 매수하였을 때 시장이 하락하면 포지션을 청산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아니면 만기 때까지 그대로 포지션을 보유해야 한다). 그러나 강세 스프레드 전략은 시장 상황이 예상과 달리 하락하였을 때, 매수한 옵션을 손절하면, 콜옵션 매도 포지션만 남게 되므로 하락에 대처 할 수 있다. 스프레드 전략이 유용한 이유가 바로 이러한 점에 있는 것이다. 시장 상황이 예상과 다르게 움직이더라도 그 방향에 맞게 대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손절 이외에는 방법이 없는 단순 매수 전략에 비해 얼마나 매력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