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노동당 창건 기념일(10월10일)을 전후로 이뤄질 가능성이 거론되는 북한의 고강도 무력도발 움직임과 관련,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청와대가 10일 당 창건일을 북 도발의 고비로 보는 가운데 지난 1일 국군의 날 기념사에서의 이른바 ‘탈북 권유’ 발언에 이어 열흘 만에 내놓을 국무회의 석상에서 내놓을 박 대통령의 대북메시지가 주목된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북한 김정은은 동아시아정상회의(EAS)의 ‘EAS 비확산성명’ 채택 하루 만에 핵실험을 단행할 만큼 통제 불능”이라며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도발할 공산이 크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예의주시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2006년 노동당 창건일 하루 전인 10월9일 실시하는 등 무력도발을 주로 국경일·기념일과 연계해 단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올해 노동당 창건일을 전후로 제6차 핵실험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습발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많다.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의 핵실험장과 장거리미사일 발사장에서 도발 임박 징후를 동시에 포착한 만큼 유례없는 ‘동시 도발’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에 청와대는 10일 당 창건일을 고비로 보고 있는 가운데 외교·안보 라인을 중심으로 비상근무체제를 유지 중이다. 박 대통령도 주말부터 10일까지 일정을 비운 채 북한군의 움직임에 대한 참모들의 분석과 4~8일 미국을 극비리에 방문한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의 한·미 간 고위급 대응방안 등을 수시로 보고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최근 북한의 도발 징후가 긴장 조성을 위한 교란·기만용이며 미국 대선일(11월8일) 전후 등으로 무력도발 감행 시점을 변경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군의 한 관계자는 “아직 핵실험·미사일 발사 징후 등이 명확히 포착되진 않았다”고 말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11일 국무회의에서 던질 새로운 대북메시지에 눈길이 쏠린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9일 5차 핵실험 직후 “김정은의 정신상태는 통제 불능”이라고 직격탄을 날린 데 이어 같은 달 13일 국무회의와 22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선 차례로 “북한 정권을 끝장내겠다는 각오”, “김정은은 큰 수해가 났는데도 정권유지·사리사욕만 생각” 등의 강경 발언들을 쏟아냈다. 이달 1일 국군의 날 기념식에선 “(북한 군·주민은) 언제든 대한민국의 자유로운 터전으로 오시길 바란다”며 탈북을 권유하는 심리전도 마다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이 열흘 만에 예상키 어려운 새 대북압박 카드를 꺼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유다.
반면 국정감사 최대 화두로 떠오른 재단법인 미르·K스포츠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여전히 거리 두기를 유지할지 주목된다. 청와대 안팎에선 박 대통령이 안보·경제 복합 위기를 강조하며 우회적으로 야권의 공세를 꼬집는 선에서 수위 조절에 나서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고개를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