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조사는 지난달 5~30일 청년 농업인, 영농기술 지도인력 등 일선 농업 종사자 343명 대상으로 실시했다. 전체 응답자 중 20~30대가 57%로 가장 많았다.
조사 결과 농업 종사자들은 영농활동 중 애로 요인에 대해 병해충관리(394건), 수확작업(385건), 제초관리(336건), 파종·정식(290건), 물관리(238건), 양분관리(207건), 경운·정지(경지 정리와 김매기, 161건) 순으로 대답했다.
경운·정지단계에서는 38.5%가 맞춤형·적정 농기계 수급·운용이 힘들다고 답했다. 파종·정식과 수확작업은 노동력(인력) 수급이 가장 어렵다는 응답자가 각각 29.0%, 31.5%로 가장 많았다.
물관리, 제초관리, 병해충관리는 적정 작업시기 결정을 애로 사항으로 꼽았다.
농업 종사자들은 애로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경운·정지단계에서 맞춤형 농기계·작업기 기술이 가장 필요(64.5%)하다고 응답했다. 파종·정식단계도 맞춤형 농기계·작업기 기술이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61.9%에 달했다.
이밖에 물관리 단계는 인공지능 영농 의사결정 지원(58.8%), 양분관리 단계는 적정 농작업 기술지도(71.6%), 병해충 관리 단계는 적정 농작업 기술지도(77.5%), 제초관리 단계는 무인·자율형 첨단 기계 기술(42.4%)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수확 관리 시 가장 큰 어려움인 노동력 수급 문제는 맞춤형 농기계·작업기(44.6%)를 필요 기술로 꼽았다.
노지 농업 현장에서 디지털 전환 기술이 개발된다면 농업 종사자 81.7%가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기술개발을 위한 영농 데이터 수집에 협조하겠다는 응답자는 88.3%에 달했다.
20~30대의 경우 디지털 기술 도입 의향 비중이 87.1%로 일반 농업인(77.1%)보다 10.0%포인트 높았다.
노지 농업에 디지털 기술 도입 시 기대효과는 노동력 절감(75.8%), 생산성 증대(55.8%), 비용 절감(50.3%) 순으로 조사됐다.
농식품부는 노지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관계부처와 진행 중인 대형 연구개발(R&D) 추진과제에 이번 조사 결과를 활용할 예정이다.
김상경 농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장은 “우리나라 농경지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노지농업의 디지털 전환 기술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라며 “노지 영농현장에서 필요한 디지털 기술개발을 중점 기획해 영농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생태계가 구축되는데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