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랫폼에서 인프라까지
카카오모빌리티는 배차·라우팅, 관제, 고정밀 지도(HD맵) 등 자사가 보유한 역량이 로봇 플랫폼 기반의 생태계에서도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예컨대 카카오T 택시, 퀵 등의 배차·수요 예측 시스템을 로봇 배차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능·용량에 따라 적합한 로봇을 배차하고, 여러 배달 요청을 고려해 최적의 운송 계획을 로봇에 전달하는 식이다. 음식 배송과 우편물 픽업 등 다양한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역할 범위를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한 역량은 사물의 이동을 위한 로봇 서비스 구현 시 요구되는 플랫폼 요건과 상통한다”며 “기존 플랫폼 역량을 바탕으로 로봇 플랫폼을 고도화해 로봇 서비스와 기술을 현재의 건물 인프라에 도입하고, 상용화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음식 배달, 우편 배송, 화물 등 다양한 주문 단계에서 발생하는 로봇 이용 수요를 플랫폼에서 표준화하며 묶음 배송 등 로봇의 대당 생산성을 향상시키겠다는 게 회사 측 계획이다. 로봇을 위한 HD맵도 구축해 대규모 로봇 사업 기반도 마련한다.
로봇 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디지털 트윈’ 역량도 확보했다. 이는 자율주행차, 배송 로봇, 건설 로봇 등 기계에 정확한 경로를 주기 위한 인프라 역할을 한다. 지난 2021년 HD맵 구축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스타트업 스트리스(Stryx)를 인수한 카카오모빌리티는 미래이동연구소를 세워 로봇이 활용할 전국 단위의 HD맵을 구축하고 있다.
이밖에 로봇 기기 운영을 위한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주차장, 로봇과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동·물류 서비스 기반을 보유하고 있는 점 등도 카카오모빌리티의 강점이다.
|
◇LG와 협업, 로봇이 건물 내 물건 배송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6월 LG전자와 업무협약을 맺고 로봇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실내·외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모빌리티·가전 간 데이터 결합을 통한 서비스 모델 등을 발굴하는 것이 이번 협력의 골자다.
올해 카카오모빌리티는 현재 주행 환경이나 건물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내·외 로봇 배송 서비스에 대한 사업화 검증(PoC)을 진행하는 것을 우선과제로 삼고 있다. 나아가 상용화 서비스까지 출시하는 것이 목표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LG전자의 자율주행 로봇과 배송 솔루션을 카카오모빌리티의 관제 플랫폼과 결합해 건물 안에서 물건을 배송하는 등의 서비스를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