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난·금리 압박에 건축 착공·준공 10년 만에 최악

박종화 기자I 2022.07.26 11:00:00

대외 경기 우려에 주택 건설실적 직격탄
'경기 선행지표' 인허가 면적은 늘어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원자재 수급 차질과 금리 인상 압박에 건축물 착공·준공 실적이 큰 폭으로 꺾였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공사에 들어간 건축물은 8만2040동이다. 1년 전(9만4374동)보다 13.1% 줄었다. 착공 건축물 수가 반기 기준 9만동 밑으로 떨어진 건 2012년 하반기 이후 거의 10년 만이다. 착공 면적도 지난해 상반기 6650만㎡에서 5843만㎡로 12.1% 줄어 2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준공 실적도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엔 8만34동이 준공됐지만 올해는 7만4145동로 7.4% 줄었다. 2009년 관련 통계 전산화가 시작된 이래 최저치다. 준공 면적(5720만㎡)도 2012년 상반기 이후 10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6092만㎡)와 비교하면 6.1% 적다.

철근, 콘크리트 등 건축자재 가격 급등과 금리 인상 등이 착공·준공 실적 악화에 영향을 줬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특히 아파트 등 주거용 건물 착공·준공 실적은 지난해보다 각각 21.0%, 10.3% 감소했다. 다른 건축물보다 주택이 대외 경기에 민감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국토부는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상반기 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 활성화가 예상된다”며 “경기 동행지표인 착공, 경기 후행지표인 준공은 건축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일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도별 허가 면적 기준으로 보면 충북(93%), 제주(61.3%), 부산(61.2%), 울산(60.4%) 순으로 13개 시·도에서 증가했다. 서울(-37.2%), 전남(-32%), 광주(-26.2%), 인천(-4.6%)은 감소했다. 용도별 인허가 면적은 기타용(28.2%), 주거용(17.7%), 공업용(13.9%), 상업용(2%) 순으로 증가했고 교육과 사회용(-8.3%)은 감소했다. 전자상거래 활성화로 경기 지역 물류센터 등 창고시설이 1060만㎡으로 지난해보다 88.2% 증가했다. 주거용은 지방 아파트가 1786만7000㎡으로 70.9% 늘었다.

규모별로 인허가 동수는 지난해와 비교할 때 500㎡미만 건축물은 8만8302동으로 12.1% 감소했다. 1만㎡ 이상은 2035동으로 31.1% 늘었다. 상반기 최대 인허가 면적은 허가 건 기준 54만1000㎡으로 대전광역시 서구 변동(도마변동3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의 아파트 단지였다.

다만 건축 인·허가 실적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늘어났다. 동수로는 11.3%(11만8605동→10만5243동) 줄었지만 면적 기준으론 13.5% 증가(8175만㎡→9275만㎡)했다. 국토부 측은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상반기 허가 면적 증가로 앞으로 건축 부문 투자 활성화가 예상된다”고 했다.

서울 강동구의 한 아파트 재건축 공사현장.(사진=뉴시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