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아파트 중 5년 이하의 가구 비중이 15.6%(602만4786가구 중 93만9184가구)라는 점을 감안하면 거래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준신축 및 구축에 비해서도 임대차 거래가 활발한 편이라고 해석된다.
준공 5년 이하 신축 아파트는 구축에 비해 보증금 부담이 크기 때문에 전세보다 월세 거래가 더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수도권 아파트 전월세 중 전세 거래비중은 5년 이하 아파트에서 42.8%(총 21만6282건 중 9만2639건)로 가장 낮았다. 반면 21~30년 이하 구축에서는 68.3%(17만6621건 중 12만705건)로 높았다.
특히 5년 이하 아파트의 전세 거래비중은 1분기 47.3%→2분기 42.7%→3분기 41.8%→4분기 37.5%로 꾸준히 줄었는데 신축 전셋값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월세를 선택한 수요가 늘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수도권 아파트 가구당 평균 전세가격을 연식 구간별로 보면 △5년 이하 5억2809만원 △6~10년 이하 5억3633만원 △10년 초과 4억1798만원으로, 5년 이하와 10년 초과 사이에는 1억원 이상 가격 차이가 있다.
그렇다 보니 신축 아파트는 구축에 비해 보증금 일부를 월 차임으로 전환한 ‘준월세(1년치 월세는 보증금보다 적고, 2년치 월세가 보증금 보다 많거나 같음)’, ‘준전세(보증금이 2년치 월세보다 많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 지난해 5년 이하 수도권 아파트 전월세 거래 가운데 준월세와 준전세 비중은 각각 30.6%, 24.6%로, 10년 초과(준월세 24.5%, 준전세 8.7%)에 비해 높았다.
신규 입주물량 감소와 집값 추가 하락 우려에 따른 전월세 수요 증가, 비(非)아파트에서 이전한 수요 등으로 2024년에도 수도권 전셋값 상승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리서치팀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가격 부담이 커지는 전세 대신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한 수요가 늘어날 수 있으며, 이는 신축 그리고 소득 및 자산 수준이 낮은 젊은 층 수요가 많은 소형에서 두드러질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