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생산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을 선행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경제지표다. 지난 4월 중국의 산업생산은 상하이 봉쇄 여파로 마이너스(-) 2.9%까지 떨어져 우한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인 지난 2020년 2월(-13.5%)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5월 0.7%, 6월 3.9% 등 반등했지만 7월 다시 소폭 둔화했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대규모 부양책을 내놓으면서 생산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국무원은 상하이 등 주요 도시 봉쇄 조치로 악화된 경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5월 33개 패키지 정책을 발표했는데 하반기 들어서도 경기 둔화 흐름이 나타나자 지난달 19개의 추가 대책을 내놓았다. 또한 이달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도 낮췄다.
|
기업별로는 국유기업 산업생산이 5.6% 늘어난 반면 민영기업은 1.1%, 외국계 및 홍콩·마카오·대만 등 기업은 4.0%로 회복세가 느렸다.
내수 경기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는 8월 전년 동기대비 5.4% 증가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3.5%는 물론 전월(2.7%)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중국의 설)연휴로 한꺼번에 발표한 1~2월의 6.7% 이후 6개월만에 최고치다.
중국의 소비는 연초 베이징동계올림픽 열기 등으로 회복했으나 3월부터 대도시 봉쇄 충격을 받아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오다 상하이 봉쇄가 해제된 6월(3.1%) 플러스 전환했다. 이후 ‘V자’ 회복을 하는 듯했지만 지난 7월 다시 2%대로 하락 경기 둔화 우려가 커졌다.
인프라 시설 투자가 반영된 고정자산투자는 1~8월 누적 기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시장 전망치인 5.5%를 웃도는 것으로 전월까지 누적인 5.7%보다도 0.1%포인트 높다.
8월 도시 실업률은 5.3%로 전월보다 0.1%포인트 낮아졌다. 전망치(5.4%)와 중국 정부의 목표치인 5.5%를 소폭 밑돌았다. 다만 16~24세 청년 실업률은 18.7%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복잡하고 엄중한 국제환경과 국내 코로나19 다발적 발생, 폭염 등 예상치 못한 시험에 직면해 각 부처는 효과적인 방역 통제와 경제사회 발전을 총괄하고 경제 안정 패키지 정책과 후속 정책 조치를 더욱 힘써 이행했다”며 “정책이 효능을 빠르게 발휘해 국민 경제가 회복하고 생산·수요가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