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현역 입대할래” 의대생 군휴학 2000여명…이유는

김윤정 기자I 2025.04.15 09:19:31

1학기 의대 남학생 17% 군복무 선택
증원반대 '차선책'으로 휴학 제한 우회
공보의 복무 '현역 2배' 개선 필요성도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의정사태 이후 의대생들의 군 휴학이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학기 군 입대를 위해 휴학한 의대생이 2000명을 돌파했는데, 이는 의정사태 발생 전인 2023학년 동기 대비 무려 10배 증가한 수치다.

14일 서울시내 의과대학 강의실에 책이 놓여 있다.(사진=뉴시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이 15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2023~2025학년도 의과대학 군 휴학 현황’에 따르면 올해 1학기 군 복무를 위해 휴학한 의대생은 전국 40개 의대 총 207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예과 1학년~본과 4학년 남성 의대생 추산치인 약 1만2000명의 17% 수준에 해당한다.

자료에 따르면, 의정갈등 이전인 2023학년 군휴학자는 1학기·2학기 각각 208명, 201명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해 1학기에는 이 수치가 602명으로 3배 가량 증가했으며, 2학기에는 1147명으로 5배 넘게 급증했다. 의정사태 발생 이후 1년이 흐른 올해 1학기는 2023학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74명으로 약 10배 늘어났다. 지난해 정부가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을 발표하자, 2월 20일부터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계 제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이 이어졌다.

의대생들이 군 휴학을 택한 데는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수업을 거부하기 위한 차선책으로 분석된다. 대다수 의대는 군대·임신·출산 등 특별한 사유를 제외하고는 3학기 이상 연속 일반휴학을 허용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긴 공보의·군의관의 복무기간(36개월)도 이유로 꼽힌다. 이는 육군 현역병(18개월)의 두배에 달해 현역 입영 증가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올해 3000여명의 사직 전공의가 군 입영 대상자가 되자, 정부는 이들을 입영 대기자로 분류하고 최장 4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입영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사직 전공의들은 장기간 입영 대기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했다며 헌법 소원을 제기한 상황이다.

서명옥 의원은 “군 의료자원 부족은 국가의 안보가 걸린 심각한 문제”라며 “정부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보의·군의관 수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