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이 교수는 “2급으로 낮춰도 만약에 오미크론급 또는 델타급의 새로운 변이 때문에 새로운 유행이 강하게 생길 거다 그러면 1급으로 바꾸진 않겠지만 방역 대응 자체를 어느 정도 다시 되돌려놓을 수 있는 수준 정도까지만 완화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변이 발생에 대비해 대응역량은 남겨둘 정도가 되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거리두기 완화 방향에 대해서는 “적절하다고 표현하긴 어려운데 지금 상황상 그렇게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을 정부가 만들어 왔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정점 전부터 거리두기 완화했었고, 2주 전에 이미 한 번 더 완화 했고 정점까지 지난 상황에서 다 해제하겠다고 공언을 여러 번 했다”며 “정점 지나서 해제가 어느 정도 안정화가 되니까 당연히 정부에서는 지금 얘기할 수 있는 거라곤 전면해제밖에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언제나 그렇지만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는 부분이 있다. 위기상황에 대해서 언제든 상황이 나빠질 수 있다는 부분을 국민한테 말씀드려야 되고 국민들 스스로 그런 상황 속에서도 어떻게 본인과 본인의 가족들을 안전하게 지킬건가에 대해서 방법에 대한 부분들 또한 그런 부분을 스스로 잘할 수 있게 하는 정책적인 노력과 홍보가 매우 중요한데 그런 부분이 부족한 부분이 상당히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완화 기조로 가더라도 위험 대비에 대한 경고는 지속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야외 마스크 의무 해제도 “지금도 사람이 많이 모이지 않는 상황에서는 실외 마스크 안 써도 되긴 되는데 국민들끼리 서로 마스크 쓰는 걸 당연히 여기니까 계속 쓰고 다니시긴 한다. 그래서 풀어볼 순 있겠는 정도”라고 밝혔다.
다만 “지금 미국이나 이런 데도 실내마스크 해제했다가 다시 실내마스크 쓰는 데도 늘고 있고, 대중교통에서의 마스크 다시 착용하게 하는 것도 보이고 있는 것들 보신다면 우리도 마스크 착용과 관련한 부분도 일시적으로 풀 순 있지만 언제든 상황이 나빠지면 다시 쓸 수 있다, 이런 여지를 남겨 놓는 건 상당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