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요양병원 집담감염, 환자유형 구분해 교차감염 차단할 것"

박경훈 기자I 2021.01.03 16:47:27

"동일집단 감염관리 미흡" 인정
"동일집단격리방식, 전면 개선하겠다"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방역당국이 요양병원 집단감염에 대해 “확진자과 비접촉자, 밀접접촉자 등으로 환자유형을 구분하고 공간과 종사인력을 철저히 분리하여 환자 간의 교차감염을 차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는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지난 12월 동안 요양병원의 집단감염이 다수 발생했고 방역관리가 미흡한 부분들이 제기됐다”며 “특히, 동일집단 격리가 실시될 요양병원 14군데에서도 환자가 1000여명, 사망자가 100여명 발생하는 등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수립했고 이를 신속하게 이행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손 반장은 “부천 효플러스요양병원이나 구로 미소들노인전문병원같이 감염이 급속히 확산된 사례들을 분석해 보면 주로 종사자를 통해 감염에 시작됐다”면서 “동일집단 격리 가운데 감염관리가 미흡했다. 또한, 적시에 의료자원과 전원병상이 지원되지 점이 상황을 악화시킨 주요한 원인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초기대응 명령을 강화하겠다”면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지자체에 맡겨두지 않고 중수본과 방대본, 국립중앙의료원과 감염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긴급현장대응팀을 즉시 현장으로 파견하겠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동일집단격리방식을 전면적으로 개선하겠다”면서 “요양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할 때에는 확진자나 비확진자 둘 중 한 집단은 모두 외부로 전원시키고 동질적인 집단만 집단격리를 실시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자 발생 규모가 큰 경우에는 비접촉자를 다른 요양병원으로 신속히 전원할 것”이라며 “이후에 남은 환자의 치료를 위해 의료인력을 추가적으로 투입하겠다”고 덧붙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전략기획반장. (사진=연합뉴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