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더민주, 명색이 제1야당인데 어쩌다 이렇게 망가졌는지”

선상원 기자I 2016.03.22 10:45:29

비례대표는 당 정체성 상징, 1번 박근혜정부 참여 보수성향 교수에 개탄
김종인 셀프공천 파동은 문재인 전 대표 책임… 당 주도권 때문에 김종인 영입

[이데일리 선상원 기자] 정동영 국민의당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선정을 둘러싼 내홍에 대해 김종인 대표보다는 문재인 전 대표의 책임이 크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정 후보는 전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엉망진창이 되어 버린 더민주의 공천과정, 나는 그 과정을 주도하고 있는 김종인 대표보다 이런 상황을 불러들인 문재인 전 대표의 책임을 더 무겁게 묻고자 한다”며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문 전 대표의 침묵이 당의 보수화를 묵인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비례대표 선정은 당의 정체성을 상징하는데 어쩌다 더민주가 이 지경이 됐냐고 개탄했다. 정 후보는 “매 총선마다 비례대표 1번은 각 정당의 정체성을 상징해왔다. 지난 19대 총선 때 민주통합당의 비례대표 1번은 전태일 열사의 여동생 전순옥 의원이었고, 제가 열린우리당 의장이던 17대 총선 때 비례대표 1번은 장애인 권익운동의 상징적 인물인 장향숙씨였다. 우리는 그렇게 비례대표 1번을 통해 당이 나아갈 길을 밝혀왔다”고 지적했다.

정 후보는 “그런데 비례대표 1번이 박근혜정부에 참여한 보수성향의 교수라니, 이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더민주가 보수정당, 새누리당과 별로 다를 게 없는 정당이 되었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는 것은 아니냐”며 “하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의 1등공신인 김종인 대표가 이끌고 있는 당이니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당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선거대책위원회 출신, 비례대표 1번은 박근혜정부에 참여한 보수교수. 이것이 오늘 대한민국의 제 1야당의 모습”이라고 힐난했다.

당이 이렇게까지 망가진 것은 문 전 대표의 당권욕 때문이라며 경남 양산에 머물고 있는 문 전 대표에게 책임을 돌렸다. 정 후보는 “어쩌다 이 지경이 됐습니까? 그 책임을 문재인 전 대표에게 물을 수밖에 없다”며 “문 전 대표는 당이 각종 선거에서 연전연패하는 상황에서도 대표직에서 물러나라는 당원들의 요구를 무시했다. 왜 입니까? 당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였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 후보는 이어 “반대파들이 탈당한 이후에, 사실상 반대파들의 탈당을 기다려, 김종인씨를 영입해 전권을 넘겨줬다. 그렇게 당권을 넘겨받은 김 대표는 공천을 통해 당을 친노정당에서 친문정당으로 바꾸어 놓았다”며 일련의 친노 운동권 의원 공천 배제가 친문 정당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작업이라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김 대표의 셀프공천 파동이 발생했다고 봤다. 문 전 대표를 위한 당으로 만들어준 만큼 그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정 후보는 “세간의 웃음거리가 된 셀프공천 파동까지. 그 과정 어디에서도 민주, 평화, 복지라는 전통 야당 정신을 찾아볼 수 없다. 김 대표가 언필칭 경제민주화의 전문가라고 하는 데, 이번 더민주 공천 어디에서 그런 흔적이라도 찾아볼 수 있느냐”며 “무릇 지도자라하면 나아갈 때는 맨 앞에 서고, 물러설 때는 가장 나중에 물러나야 한다”고 했다.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사례를 소개했다. 정 후보는 “김 전 대통령은 지난 13대 총선에서 전국구 11번을 자임했고, 15대 총선에서는 14번을 맡았다. 17대 총선에서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이던 제가 스스로 택한 비례대표 순위는 22번이었다”며 “요즘 더민주의 상황을 보고 있노라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슬픔을 느낀다. 명색이 제1야당인데, 어떻게 이렇게까지 망가지는 것인지”라고 탄식했다.





▶ 관련기사 ◀
☞ 국민의당, 정동영·주승용·김관영 등 19곳 공천확정(종합)
☞ 정동영 “고등학교 나와도 대졸과 대등하게 살수 있어야 청년실업 해결”
☞ 정동영 "불평등의 근원은 부동산..아파트 분양가 공개해야"
☞ 정동영 “제2의 유신독재로 가는 서막이 아닌지 우려”
☞ 정동영 “일자리 햇볕정책으로 불평등 해소해야”
☞ 정동영, 김종인 영입 문재인에 "부끄러운 줄 알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