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9년 이후 삼표그룹 계열사들 사이에서 일어난 사망 사고만 총 7건에 달한다.
삼표그룹은 사업지주회사인 삼표를 중심으로 국내 1위 골재업체 삼표산업을 비롯해 삼표시멘트, 콘크리트제품 제조업체 삼표피앤씨, 철도궤도 건설사업체 삼표레일웨이 등의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 삼표가 98.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삼표산업은 삼표의 핵심 계열사로, 지난 2020년 삼표의 연결기준 매출 1조 4552억원 중 45%인 6534억원을 삼표산업이 차지했다.
지난달 29일 삼표산업 양주 채석장 석산에서 골재 채취 작업 중 채석장 토사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에도 삼표산업에서는 잇단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 6월 삼표산업 포천사업소에서 굴러떨어지는 바위에 깔리는 사망사고가 발생했고, 같은 해 9월에는 삼표산업 성수공장에서 용역직원이 덤프트럭에 치여 사망했다.
|
이에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은 삼표시멘트 삼척공장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에 돌입, 지난해 총 471건의 위법행위를 적발해 4억 30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삼표는 당시 150억원을 투자해 보안카메라·경보장치 설치 등 안전 시설물 개선 등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안전한 작업 현장 조성을 위해 올해부터 2025년까지 매년 20억원을 추가로 투입하겠다고도 약속했다.
하지만 안전과 관련한 연이은 지적과 투자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또다시 인명 사고가 발생하자 업계에서는 삼표 내부 안전망 체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업계 관계자는 “채석장을 운영하는 경쟁사들은 통상 연휴기간 작업을 하지 않는다. 삼표만 작업에 나섰다는 것은 작업을 무리하게 요구하는 분위기가 있었을 수 있다”며 “내부적으로 안전망 확보 노력이 미흡했을 가능성도 있다. 고용노동부와 경찰 조사 등을 통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표는 이번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김옥진 ㈜삼표 대표·문종구 삼표그룹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비롯해 최고 경영진으로 꾸린 비상대책위원회도 구성했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사고원인 분석 및 재발 방지, 피해복구 지원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표는 지난 1952년 강원탄강을 차려 무연탄 사업을 운영하던 고(故) 정인욱 회장이 1966년 설립한 삼강운수가 전신이다. 연탄을 수송하던 삼강운수는 지난 1974년 사명을 삼표산업으로 바꾸고 콘크리트 사업에 나섰다. 이후 2004년 사명을 ㈜삼표로 전환했다가 지난 2013년 10월 골재·레미콘 사업을 물적분할해 삼표산업을 설립했다. 그해 삼표는 사업지주회사로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