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최상목 “반도체 산업지원, 26→33조…소·부·장 투자에 700억 추경”

김미영 기자I 2025.04.15 09:12:43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주재
“美관세 유예 90일, 전력보강 지원의 시간”
“반도체 저리 대출, 3년간 총 20조 규모로 확대”

[세종=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을 33조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재정도 2026년까지 4조원 이상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반도체 산업 지원규모를 지난해 6월 밝힌 26조원에서 7조원가량 늘리겠단 구상이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했고 반도체, 의약품 분야도 품목별 관세부과가 예고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는 “글로벌 통상전쟁을 맞이한 우리 기업의 전력 보강을 지원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라며 반도체 산업 등에 대한 과감한 지원을 강조했다.

먼저 전력·용수 등 인프라 구축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을 언급하며 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 1조 8000억원 중 기업 부담분에 대해 국가에서 70%를 분담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의 인프라 국비 지원 비율을 기존 15~30%에서 30~50%로 대폭 상향하고, 투자 규모 100조원 이상 대규모 클러스터의 경우 국비 지원 한도를 500억원에서 1000억원까지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첨단 소재·부품·장비를 생산하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투자보조금을 신설하고, 이번 추경에 700억원을 반영했다”며 “반도체 저리 대출은 3조원 이상 추가 공급해 3년간 총 20조원 규모로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실제 양산 환경에 근접한 미니팹 신설을 적극 지원해 K반도체 기술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국가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방안 후속조치도 발표했다. 최 부총리는 “AI 분야에 추경을 통해 1조 8000억원을 추가 투입하고 AI 3강 진입을 위한 지원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면서 “AI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AI 혁신펀드’의 조성 규모도 기존 9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대폭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연합뉴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