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진 소아감염학회 부회장(삼성서울병원 교수)은 8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정례브리핑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
마이코플라스마폐렴은 연중 발생하지만 주로 늦가을에서 초봄에 유행한다. 국내에서는 2015년 1만2358명의 입원환자가 발생한 이후 2019년에 1만3479명의 환자 기록이 있다. 이 때문에 4년을 주기로 유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증상은 감염 초기 발열, 두통, 인후통을 동반해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비슷해 자연회복한다. 하지만, 일부 인플루엔자 및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중복 감염 발생 시 환자의 3~13%는 중증으로 진행해 폐렴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입원환자는 11월 4째주(47주) 270명이다. 11월 첫 주 173명이었던 것이 매주 226명(2주), 232명(3주) 등으로 느는 등 최근 4주간 1.6배 증가했다.
김예진 교수는 “대부분 경하게 치료가 잘 되어서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일부 경우에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며 “항생제 치료도 외래에서 하거나 좀 더 심한 경우에 입원해서 할 수는 있다. 대부분 잘 치료가 되어서 퇴원도 무리 없이 할 수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 교수는 “항생제도 치료가 잘 되고 있는 편이 많지만 혹시라도 내성이 있다 하더라도 그다음에 2차 약제도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 별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현종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총무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교수 )도 “항생제 내성의 정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외래에서 쓰게 되는 1차 약제에 대한 내성을 뜻한다”며 “2차 약제에 대한 내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현재 2명 중 1명이 1차 약제에 내성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현종 교수는 “2019년과 비슷한 양상”이라며 “당시에도 논란이 되지 않고 보건시스템에서 잘 치료가 됐다. 지금도 그때와 달라진 상황이 크게 없고 약제도 비슷하다. 너무 걱정 안 해도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