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지식경제부 에너지자원실장은 13일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제3차 이산화탄소처리리더십포럼(CSLF) 각료회의에 참석해 한국 정부의 CCS기술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의 CCS기술 개발 투자를 연간 145억원 수준에서 앞으로 5년간 1000억원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또 한국전력과 5개 발전자회사들도 2020년까지 이 분야에 1조3000억원을 투자한다.
2014년까지는 10MW급 포집 실증 지원을 통해 필요 기술을 확보하고, 2015년부터 기업 컨소시엄 주도로 500MW급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CCS`는 발전소나 철강, 시멘트, 정유 등 산업공정에서 발생된 대규모 이산화탄소를 90% 이상 포집해 압축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
전세계 화석에너지의 수요 증가 추세를 감안하면 관련 시장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까지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8%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다.
특히 향후에는 CCS 기술 없이는 신규 화력 발전 시장 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실제로 국제에너지기구(IEA)와 CSLF는 지난해 G8 정상회의에서 신규 화력발전소에 CCS 적용을 권고한 바 있다.
이같은 추세를 반영해 해외 주요국들도 CCS 기술개발에 한창이다.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호주는 지난 4월 `국제CCS연구소(GCCSI)`를 설립하고 매년 1000억원 규모의 정부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미국도 지난 6월 국립탄소포집센터를 설립하고 1500억원 투자했고, 유럽연합은 2020년 CCS 상용화, 화력발전소 이산화탄소 배출량 `0`을 목표로 2015년까지 10~12개의 대규모 실증사업에 120억유로 지원할 계획이다.
김 실장은 "IEA는 오는 2050년에는 CCS가 단일기술로는 최대 규모인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9%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이 일부 우수한 포집기술을 확보하고 있지만 국제 수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자원을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초기에는 정부 지원을 통해 기업의 투자 리스크를 낮추고, 상용화 실증 단계에서는 기업 주도로 추진함으로써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CCS 상용화를 적극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