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의 ‘2008~2012 MB정부 결산’자료에 따르면 2008년 2월부터 현재까지 아파트 전셋값은 37.17% 올랐다.
서울 32.16% 경기 33.01% 신도시 26.61% 인천 24.94%씩 상승했다. 지방은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 46.32%, 기타 시·도 51.28%로 급등했다.
서울에서는 지하철9호선 개통 호재를 누린 강서구가 42.69%로 가장 많이 올랐다. 광진구(39.66%) 중랑구(35.97%) 마포구(35.74%) 영등포구(35.18%) 순으로 비강남권 전세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경기도는 화성시가 74.07%로 가장 많이 올랐고 하남시(51.24%) 오산시(47.90%) 여주군(46.64%) 남양주시(45.87%) 등이 상승했다. 지방 전셋값은 전북(63.71%)이 가장 높았고 전남(63.61%) 경남(59.25%) 부산(58.61%)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전셋값이 상승한 것은 주택경기 침체로 수요자들이 매수를 기피한데다가 ‘반값 아파트’를 표방한 보금자리주택 공급으로 인한 전·월세 시장에 머무르는 대기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방에서는 세종시, 평창 올림픽 개발 유치, 혁신도시 조성 등에 따른 기대감으로 전셋값이 급등했다.
MB정부 출범 초기인 2008년 말 미국발 금융위기 여파와 2만여 가구의 대량 입주에 따른 ‘역전세난’현상으로 일시적으로 전셋값이 하락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9년 하반기 이후 전세 선호 현상이 뚜렷해짐에 따라 전셋값은 꾸준히 올랐다.
반면 현 정부 들어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국적으로 3.5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서울(-4.39%) 경기(-7.35%) 신도시(-14.26%) 인천(3.43%) 등 수도권 대부분의 지역이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6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와 재건축 단지들이 밀집된 강남구(-16.44%) 강동구(-13.23%) 송파구(-12.89%) 양천구(-9.92%) 서초구(-3.68%) 순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경기도에서도 정부청사 이전 등으로 과천시(-20.49%) 용인시(-18.19%) 성남시(-17.07%) 김포시(-16.16%) 등이 하락세를 보였다.
지방 5대 광역시 31.42%, 기타 시·도 33.99% 등이 급상승했다. 전북(57.44%) 전남(48.82%) 부산(47.76%) 상승해 전국 상승률 1~3위를 차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