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 부소장은 탄탄한 외환보유고와 높은 국내총생산(GDP), 안정적 거시경제 환경 등을 원화 국제화를 위한 기본적인 조건으로 꼽았다.
특히 "외환보유고가 충분한 가운데 서울의 경제적 위상이 높아질 경우 원화의 태환성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그러면 지금과 같은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어 그 자금을 다양한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다만 협소한 외환·금융시장과 북한의 지정학적 리스크, 정부의 과도한 금융규제 등은 원화 국제화를 가로막는 제약조건으로 제시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후 나온 한국 정부의 각종 규제는 외부인들에게 복합적인 시그널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금융규제는 투명성과 예측가능성, 일관성 등을 충족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금융규제는 과도한 수준이라는게 리우 부소장의 입장이다.
또 "북한이 어떤 방식으로든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원화의 태환성 확대에 장애요인"이라며 "외국인들에게는 큰 불안요인으로 작용해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리우 부소장은 "원화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환율 변동폭이 상당히 완화되긴 했다"면서도 "하지만 태환성이 부족할 경우 국제통화로 통용될 가능성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원화의 국제화는 쉽지 않은 과제지만 중국의 위안화보다는 좋은 위치에 있다"면서 "한국 정부가 다양한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태환성을 확대하는데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명박 정부 들어 금융 자유화가 정책의 우선순위에서 크게 밀린 것 같다"며 "외환은행 매각지연이 정책 불확실성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리우 부소장은 결론적으로 "원화의 태환성을 확대할수록 한국의 외환 리스크가 크게 줄어드는 것은 물론 대외충격에 대한 한국경제의 대응력도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정도와 관련해선 "한·중 양국이 통화의 태환성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처지는 같지만 중국은 더 갈 길이 멀다"면서 "중국이 한국을 따라잡으려면 10~20년 정도 걸릴 것 같다"고 진단했다.
▶ 관련테마기획 ◀
☞2012 국제금융컨퍼런스
▶ 관련포토갤러리 ◀
☞국제금융컨퍼런스(IFC) 2012 사진 보기
▶ 관련기사 ◀
☞[IFC2012]엘든 "외국자본에 대한 인식전환 필요"
☞[IFC2012]권혁세 "`신성장엔진` 금융 경쟁력 확보 시급"
☞[IFC2012]개막식 성황리 개최..행사 15분전 만석
☞[IFC2012]한국금융의 길을 찾는다..IFC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