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전략 산업으로 키울 것…올해 2100억 투자"

김국배 기자I 2022.02.10 10:30:19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 발표
4년내 AI 보안 기업 60개 육성, 악성코드·침해사고 데이터 8억건 개방
메타버스 서비스 보안모델 개발 등 비대면·융합보안 신시장 창출
원천 기술 확보 위해 R&D 예산 928억 책정, 전년보다 24% 늘려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정부가 올해만 2100억원을 들여 정보보호 산업을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키운다. 4년 내 인공지능(AI) 보안 기업 60개를 육성하고, 악성코드 등 데이터 8억건을 개방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일 제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정보보호 산업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국내 정보보호 시장은 지난해까지 3년간 연평균 8.4%씩 커졌다. 글로벌 시장 규모도 2024년까지 매년 9.4%씩 증가할 전망이다.

이번 방안에는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정보보호 신시장 창출 △글로벌 일류 정보보호 기업 육성 △정보보호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생태계 확충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경쟁력 확보 등 4개 전략이 담겼다.

정부가 구축하는 보안리빙랩 (사진=과기정통부)


과기정통부는 2025년까지 보안 위협 자동 탐지·대응, 보안관제 자동화 등 AI 기반 보안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혁신 보안 기업 60개를 발굴해 육성하기로 했다. 8억여건의 악성코드·침해사고 데이터 개방하고, 재난·안전 분야 물리 보안 데이터를 구축해 AI 보안 제품·서비스의 성능을 뒷받침하겠다는 구상이다.

비대면 보안 분야에선 원격의료 지원 서비스, 메타버스 기반 서비스의 보안 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융합 보안 분야에선 각 영역에 특화된 5개 보안 거점(보안리빙랩)을 안양(실감 콘텐츠)·안산(스마트공장)·군산(자율주행차)·부산(스마트시티)·원주(디지털 헬스케어)에 구축해 보안 점검툴부터 컨설팅, 보안 솔루션을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정보보호산업법(18조)에 따라 우수 정보보호 제품과 서비스를 지정해 판로 개척을 지원하며, 금융기관과 협업해 정보보호 분야 벤처기업 투자상품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정보보호 기업의 투자 유치 기회도 확대한다.

또한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도입된 정보보호 공시제를 기업들이 오는 6월까지 이행하도록 추진한다. 이를 토대로 정보보호 투자 현황 분석 등을 통해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사물인터넷(IoT) 기기 해킹에 대응해 열화상 카메라, 도어락, 드론, 의료용 엑스레이 등 정보보호 인증 분야를 확대시켜 보안 내재화 기반을 마련한다.



보안 투자 여력이 부족한 8300개 중소기업에는 보안 컨설팅, 보안 제품 도입, 데이터 백업 등을 지원한다. 정보보호 핵심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R&D) 규모도 지난해 747억원에서 올해 928억원으로 24% 이상 늘린다.

사이버 보안은 지난해 말 국가 차원에서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10대 국가 필수 전략 기술로 선정되기도 했다.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우리 기술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의 도래, 디지털 전환으로 보안 위협이 일상화되고 있다”며 “우리 정보보호 기업과 기술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디지털 전환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