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지원 범위를 바라보는 시각차는 뚜렷하다. 이 후보는 ‘코로나 발생부터 완전 극복 시점까지 피해에 대한 완전한 보상’을 약속했다. 채무조정과 신용 대사면 등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금융 지원책도 제시했다. 윤 후보가 내놓은 ‘코로나 극복 긴급구조 플랜’은 피해 정도에 따라 우선권에 차등이 생긴다. 집권 시 취임 직후 직속 ‘코로나 긴급구조 특별본부’를 설치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가동되는 긴급구조 프로그램은 감염병 종식 후 2년까지 운영한다.
2·3호 공약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경제 활성화 대책에 방점을 찍은 것도 비슷했다. 이 후보는 ‘수출 1조 달러, 국민소득 5만 달러’라는 목표치와 함께 디지털 대전환, 에너지 고속도로·인프라 구축 등을 내걸었다. 간판 공약인 기본소득 관련해서도 임기 내 전 국민에게 연 100만원을 확대 지급하고, 2023년부터는 만 19~29세 청년에게 연 100만원을 주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반면 윤 후보는 기업 성장에 의한 ‘민간주도’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다. 규제 개혁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고용친화적 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각오다. 특히 벤처·중소·중견기업이 신산업에 진출할 경우 연구개발 등 지원을 확실히 늘리겠다고 밝혔다. 근로시간과 임금체계를 유연화해 합리적 노사관계를 정립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부동산 분야에서 이 후보는 다양한 유형의 ‘기본주택’ 140만호를 공급하고 생애 최초 구입하는 청년에게 물량의 30%를 우선 배정하겠다고 했다. 윤 후보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민간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해 주택 250만호를 공급하겠다고 공언했다.
외교안보 부문에서는 대립각을 세웠다. 이 후보는 현 정부의 핵심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연장 선상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강조했다. 윤 후보는 먼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검증한 후 평화 협정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세워 보수 색채를 분명히 했다.
정치 공약에는 양강 후보들의 승부수가 담겼다. 이 후보는 대통령 4년 중임제를 위해 단계적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과정에서 책임총리제도 운영할 것을 명문화해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밑그림을 완성했다. 윤 후보는 제왕적 대통령제 청산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대통령실은 정부 서울청사로 이전하고, 청와대 부지는 시민을 위해 활용하며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편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탈탄소사회 전환 △일할 권리 및 기본권 보장 △성평등사회 실현 등 진보정당 주자로서 자신의 선명성을 강조하는 공약을 내놓았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1호 공약인 ‘5-5-5 신성장전략’을 필두로 △공적연금 개혁 △코로나 영업시간 제한 폐지 및 150조원 손실보상 △수시 폐지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