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지정 당시에는 보행 인구가 늘어나면 유동인구가 늘어 지역 상권 매출도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하지만 상인들은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된 후 오히려 근처 상권이 죽고 있다고 주장한다. 신촌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김모(42)씨는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후 근처 대학생 이외에 손님들이 사라졌다”며 “차량 진입이 안 되니 자가용을 주로 이용하는 30~40대는 아예 신촌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달라진 분위기를 전했다.
신촌에서 2대째 주점을 운영하고 있는 김봉수 신촌 주민자치위원장은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30~40년 간 신촌에서 자리를 지켜온 ‘신촌 구월산’, ‘신촌 김삿갓’ 등 노포들까지 문을 닫고 있다”토로하며 “오죽 답답했으면 상인들이 직접 나서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동의서를 작성해 서대문구에 제출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에 서대문구는 10월 시행을 목표로 연세로 차량 통행 허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서대문구 관계자는 “차량 통행은 정상적으로 하되 축제가 필요하면 그 시기에만 교통 통제를 해도 된다”며 “상권 활성화와 문화도 같이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환경 단체인 서울환경연합은 이 같은 서대문구의 입장이 근거 없는 주장일 뿐만 아니라 차량 이용을 부추기는 정책으로 기후위기 시대에 역행한다고 비판한다. 최화영 서울환경연합 기후에너지 활동가는 “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당시 단순 통과 차량이 80% 이상으로 차량이 통행한다고 해도 상권이 활성화되지 못할 확률이 높다”며 “기후위기 시대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더 많은 대중교통전용지구를 운영하기는커녕 있는 것마저 없애려는 행태가 심히 유감스럽다”고 지적했다.
연세로 인근 대학교 학생들 및 세브란스 병원 직원들은 통행 불편과 거리문화가 사라지는 것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서강대에 재학 중인 이진규(22)씨는 “차량 통행이 금지된 덕에 거리 공연이나 행사가 많았다”며 “문화가 신촌을 만들었다고 생각하는데 오히려 특색이 사라지는 것”고 아쉬워했다.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다니는 간호사 심가영(29)씨는 “차가 없어 걷기도 좋고, 버스킹 등 공연도 있어서 신촌에 더 자주 갔다”며 “문화가 사라지면 굳이 신촌까지 가진 않을 것 같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연세로 뿐만 아니라 주변 도로 시설 인프라를 정비해 신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강경우 한양대 교통물류공학과 교수는 “신촌은 대중교통 및 보행 여건 자체가 좋지 않은데, 차량만 통제하니 상권이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는 구조”라며 “유럽을 보면 트램같은 대중교통 인프라가 충분하고, 광장·성당 등 지역 명소가 있어 보행자들이 걸을 유인이 충분한 곳에 주로 대중교통지정을 한다”고 지적했다. 유정훈 아주대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연세로는 그대로 두더라도 300m 내외에 주차 시설을 충분히 공급하고, 일방통행이 많은 이면도로를 재정비 해 자동차로도 신촌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