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168만원 늘 때 서울 집 '1억 3000만원' 뛰었다

황현규 기자I 2021.03.14 15:10:05

서울 주택구입부담지수 12년 만에 최고
“비싸서 살 수 없다”…소득으로 살 수 있는 집도 줄어
집값 상승률이 소득 상승률보다 3배 커
이달 들어 집갑 상승폭은 줄어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서울 주택 구입 부담 지수가 12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소득 대비 크게 오른 집값으로 인해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고 있다.

14일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전 분기(144.5)보다 8.9포인트 상승한 153.4로 집계됐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 소득 가구’가 대출을 받아 ‘중간 가격 주택’을 구입할 경우의 상환 부담을 의미한다. 숫자가 클수록 집을 사는 데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서울=연합뉴스)
특히 서울 주택 구입부담지수는 전국 평균보다 3배나 높은 수치다. 전국 평균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전분기(52.3) 대비 5.1포인트 오른 57.4를 기록했다. 물론 전국 주택 구입부담지수 또한 2018년 3분기(57.5)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16개 시·도(세종 제외) 주택구입부담지수도 모두 전분기 대비 올랐다. 경기(68.9→76.4), 부산(54.2→61.3), 대전(58.0→61.9), 대구(60.3→64.1) 등에서 상승 폭이 컸다. 이에 비해 전북(27.2→27.4), 강원(30.6→31.1), 충북(30.4→30.9) 등은 상승 폭이 미미했다.

주택구입부담 지수가 사상 최고로 오른 데는 소득 대비 집값 상승이 컸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중위소득은 234만원으로 전년 대비 14만원(6.3%)오르는 데 그쳤다. 연봉으로 계산하면 약 168만원 늘어난 셈이다.

그러나 서울 아파트의 중간 주택값은 1년 사이 18% 뛰었다. 소득과 비교해 3배 넘게 높은 상승률이다. 가격으로 보면 2019년(12월 기준) 6억 6745만원이었던 서울 중위 집값은 2020년 7억 9339만원으로 올랐다. 심지어 2개월 사이 서울 중위 주택 값은 더 뛰어 2021년 2월 8억 2000만원을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상황이 이렇자 근로 소득자가 구매 가능한 서울 주택은 줄어들고 있다. 중위 소득 가구가 구입하기 적절한 주택 수의 비율을 의미하는 주택구입물량지수(K-HOI)는 급격히 하락했다. 작년 말 서울 주택구입물량지수는 6.2로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중위 소득 가구가 대출까지 활용해도 살 수 있는 서울 아파트는 전체의 6.2%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최영상 주택금융연구원 부연구위원·강영신 연구주임은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9억원을 초과했고 2015~2020년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비수도권과의 가격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지난달 나온 공급정책(2·4대책)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는 둔화된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둘째주 주간아파트가격동향을 보면, 전국 아파트값은 0.24% 올라 전주와 변동률이 동일했다. 서울 0.07%, 지방 0.28%로 전주와 같았고 수도권은 0.28%로 전주(0.29%)보다 상승폭이 소폭 줄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