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보며 진단하고, 로봇이 환자 돌보고...과학기술로 '치매' 해결할까

강민구 기자I 2020.05.20 09:00:00

매년 사회적 비용 증가...정부 ''치매국가책임제'' 추진
복합적 원인 작용...융합연구단 연구 추진
치매 조기진단부터 사회적 로봇, 치료제 개발 진행중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주변에서 집을 찾지 못하는 노부모를 찾거나 차량 주차 장소가 기억에 남지 않아 당혹스러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드라마 속에는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려 사랑하는 아내와 이혼을 결심한 젊은 남자가 등장하기도 한다.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됐지만, 치매는 여전히 인간을 위협하고 있다. 사람에게 가장 두려운 질병 중 하나다.

중앙치매센터 보고서에 의하면 2018년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추정 치매환자수는 75만명으로, 10명중 1명이 치매를 겪고 있다. 연령 별로는 70세 이후부터 급증하는 추세이나 65세 미만 치매상병자도 8만여명에 달해 젊은 환자도 안심할 수 없다.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면서 정부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문제로 인식해 ‘치매국가책임제’를 추진하고 있다. 환자와 가족이 떠안아야 했던 고통과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취지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을 활용해 진단부터 치료, 돌봄까지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치매에 한해 본격적인 과학기술적 접근이 이뤄진 것은 10여년 전으로 전주기적 치매 연구가 진행중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이 협력하는 치매DTC융합연구단이 수년째 연구를 수행중이며, 올해 대형 국가 연구사업단인 치매극복기술연구사업단이 새로 발족돼 과학기술을 융합한 연구가 이뤄질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진이 치매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사진=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치매 원인에 복합적 원인 작용...기억력과 인지기능 장애 유발

치매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뇌손상이 발생해 기억력과 인지기능에 장애를 유발한다. 가장 흔한 형태인 알츠하이머부터 혈관성 치매, 알콜성 치매, 외상으로 인한 치매 등 종류가 다양하다.

아직 치매의 명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치매는 치매 취약 유전자인 엡실론4(APOE4)를 보유한 사람에게 유전적인 치매가 발병할 수도 있고 베타·아밀로이드나 타우 단백질 축적에 따른 인지 기능 저하나 외상에 따른 뇌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상관관계가 밝혀지지 않았다.

치매는 환자마다 병의 경중이 달라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 어렵다. 뇌 속에서 독성 단백질이 생겨나는 과정을 추적하거나 하나씩 관찰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배애님 치매DTC융합연구단장은 “치매의 명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 축적에 따른 신경세포의 손상을 인지 기능저하 원인으로 본다”면서 “이를 개선해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치매케어로봇 마이봄(My Bom)은 치매환자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사진=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진단부터 치료, 돌봄까지...과학기술적 해법 모색

진단과 치료, 돌봄 등 치매 전주기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데, 우선 치매는 일찍 발견하면 진행을 늦추며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그동안 문진표 작성을 통한 치매선별검사가 이뤄졌지만, 병리학적으로 정확한 진단에는 한계가 있었다. 자기 공명 영상장치(MRI),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검사는 비용이 소모되고, 불편하다는 점에서 치매 증상이 심해진 이후에 환자들이 찾는 경우가 많았다. 치매DTC융합연구단은 삼성의료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를 기반으로 치매 위험군을 선별하거나 드라마 시청 이후 등장인물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을 분석해 치매 고위험도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 치매환자들이 간병인 없이도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환자 돌봄 로봇도 개발중이다. 치매DTC융합연구단이 개발한 ‘마이봄’ 로봇은 고령자들과 정서적으로 교감하며 기억력을 회복시키도록 돕는다. 치매 환자들과 함께 퀴즈를 풀며, 기억력 회복을 돕고 교감하도록 노인센터에서 시범 운영중이다.

궁극적인 치매 해결을 위해 치료제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허가된 ‘아리셉트’와 같은 약물은 치매를 직접 치료하지 못하고, 신경전달물질을 일시적으로 늘려 치매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하고, 진행을 지연시켜준다. 이런 치매 치료제들은 치매가 진행돼 신경세포 손상이 심화되면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

지난 20여년간 다국적 제약회사와 연구자들이 치매 원인 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개발에 집중했으나 계속된 임상 실패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해졌다.

융합연구단은 신경세포 퇴행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타우 단백질의 응집을 초기부터 관찰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저해하는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동아 ST와 함께 연구 중이다.

배 단장은 “임상까지 과정이 험난하지만 치매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선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면서 “치매 고위험군의 조기 선별부터 치매 예방과 관리에 활용할 기술을 개발해 치매로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낮춰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