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서울시의 ‘동네 미래발전 지도’에 해당하는 ‘서울 생활권 계획’이 4년 만에 최종 완성됐다.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세분화해 각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7일 서울시는 지난 2014년 제시한 ‘2030 서울 플랜’에서 제시한 후속 조치로 서울 생활권 계획을 최종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주거, 산업·일자리, 교통, 복지, 교육 등 시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이슈들에 대한 발전구상을 생활권별로 담아낸 국내 최초의 생활 밀착형 도시계획이다.
◇도시공간·일자리·주거정비 등 지역별 생활권 계획 수립
우선 시는 5개 권역(도심권·동북권·서북권·서남권·동남권)과 116개 지역에 대한 생활권 계획을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7개 이슈로 △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 등을 제시했다.
도시공간은 권역·지역의 기능과 역할 강화를 통한 지역성 강화 방안을 담았다. 대표적으로 상암·수색(서북권)은 수색복합역사와 경의선 상부부지를 활용해 영상·미디어·연구개발(R&D) 기능을 확충해 디지털미디어 거점으로 육성하고, 청량리역(동북권)은 복합환승역사를 통해 교통·상업 중심지로 기능을 강화한다.
산업·일자리는 특성화된 산업을 발굴·육성해 고용과 경제 기반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담았다. 예컨대, 가산G밸리(서남권)는 4개 권역으로 나눠 도심형 산업, 패션·디자인, 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한 창조산업 중심거점으로 육성한다. 신촌 일대(서북권)는 대학과 연계해 청년창업 거점으로, 상일동 일대(동남권)는 첨단 업무단지와 엔지니어링 복합단지 규모를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주거정비 분야는 주거지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비·보전·관리방안을 담았다. 상계·월계(동북권)는 노후화된 택지 개발지구의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곳에 대한 관리방안을 마련해 정비에 나선다. 불광동·홍은동·성산동 등 일대(서북권)는 1인가구, 어르신 등 맞춤형 공유주택 도입을 유도한다.
교통 분야는 각 생활권별로 보행 환경 개선과 보행공간 확보, 자전거 도로 및 이용시설 확충, 주요 간선도로 확충 계획을, 환경·안전 분야는 자연환경 보전, 공원·녹지 확대, 방재대책 방안을 포함했다.
또한 역사·문화·관광 분야는 역사·문화자원의 보전·활용방안과 관광 활성화 방안을 담았다. 도심권은 한양역사도심을 활용해 도보관광을 활성화하고 동남권은 풍납토성~암사동 유적~아차산성을 연계한 역사문화 탐방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복지·교육은 1~2인 가구 비율이 높은 혜화동·장충동(도심권)의 경우 문화·체육시설을 확충하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
|
한편 시는 이번 생활권 계획을 통해 ‘2030 서울플랜’에서 정한 중심지 체계인 ‘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를 최종 완성하고 중심지별 육성·관리 방안을 수립했다. 오는 2030년까지 중심지 내에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배분 물량(134만㎡, 유보 물량 제외)의 70% 이상을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에 배분한다. 서북권은 18만㎡, 동남권 17만㎡ 규모다.
신규 상업지역 지정은 지역별로 배분된 물량 범위 내에서 자치구가 개발계획과 연계한 세부계획을 수립, 시에 요청하면 중심지 육성방향, 공공기여의 적정성 등을 고려해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생활권 계획에서 정한 중심지 내에서는 제3종 일반주거지역 이상인 지역을 원칙으로 상업지역 지정 검토가 가능하다.
서울시는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 계획의 방향과 내용이 향후 서울시의 모든 관련 하위 계획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각종 도시관리계획 수립시 검토·심의 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 생활권 계획은 4년 간 많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로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이며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고 예측이 가능한 도시 계획”이라며 “서울 모든 지역의 발전구상을 빠짐 없이 촘촘하게 담은 만큼 서울의 지역 균형 성장을 견인할 큰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