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교안 당무 복귀..“다시 일어나 싸울 것”
한국당은 1일 “황교안 대표가 2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황 대표의 건강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지만 국회 상황을 감안해 당무 복귀를 서둘렀다는 설명이다.
황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단식을 멈추게 됐다”며 “다시 일어나 끝까지 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대 악법’(선거법·공수처법)을 반드시 저지하고, ‘3대 문재인 청와대 게이트’(유재수· 황운하·우리들병원)의 진상규명에 총력 투쟁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고통이 큰 힘이 됐다”며 “‘내가 황교안이다’에서 나아가 ‘우리가 대한민국이다’가 되어 함께 투쟁하자”고 덧붙였다. 단식 엿새째엿던 지난달 25일 이후 첫 입장문이다.
황 대표가 단식을 시작한 지난달 20일께만 해도 당 내부에선 쇄신 요구가 빗발치고 이에 화답하지 못하는 지도부에 대한 비판도 만만찮았다. 특히 부산 3선이자 개혁 소장파였던 김세연 의원이 불출마하며 지도부 책임론을 들고 나온 여파가 거셌다.
하지만 황 대표가 청와대 앞에서 단식에 돌입하자 ‘패스트트랙 정국에선 일단 단결하자’는 내부 분위기가 형성됐다. 한국당 한 재선 의원은 “대표가 단식까지 하면서 ‘앉아서 당하지 않겠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이 시기에 내부 총질을 하는 것은 해당 행위”라고 말했다.
황 대표의 단식을 계기로 한국당은 대여 투쟁 수위도 한층 끌어올렸다. 황 대표가 단식을 마친 지난달 28일 이후에도 이날까지 나흘 째 정미경·신보라 최고위원은 ‘우리가 황교안이다’며 릴레이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29일에는 국회 본회의 모든 안건에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 의사진행방해)를 신청해 정국이 마비됐다.
◇黃, 패트 저지·보수 통합·인적 쇄신 난제 풀까
향후 펼쳐질 패스트트랙 법안을 어떻게 저지하느냐도 황 대표 리더십의 시험대다. 황 대표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연장 △공수처 설치법 철회 △선거법 개정안 철회 세 가지를 요구하며 단식에 나섰지만 가장 큰 이유는 선거법 때문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패스트트랙 협상은 원내지도부에 일임했지만 소속 의원 대부분이 선거법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어서다.
당분간 한국당은 다른 여야 4당과 ‘강대 강’ 대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협상은 없다’, ‘국회의원 의석 수를 어떻게 배분하든 연동형 비례제의 ‘연’자도 꺼내지 말라’는 입장이다.
어떻게든 패스트트랙 법안을 저지한다 해도 황 대표에게 쌓인 과제는 보수 통합과 인적 쇄신 등 ‘산넘어 산’이다.
황 대표의 단식으로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모임 ‘변화와 혁신(변혁)’ 측과 보수 통합 논의는 ‘일단 정지’ 상태다. 변혁은 오는 8일 중앙당 발기인 대회를 여는 등 계획대로 신당 창당 과정을 밟고 있다. 변혁 한 의원은 “보수 통합 논의는 완전히 멈췄다”며 “우리는 우리대로 신당을 창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당 창당의 정신에 한국당이 동의한다면 같이 하지 못할 이유가 없지만 현재로선 그럴 기미가 전혀 안 보인다”고 전했다.
인적 쇄신은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힌다. 일단 황 대표 단식 이틀차였던 지난달 21일 한국당 총선기획단은 ‘현역 50%를 교체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해 당내 반발을 불식했다. 하지만 현역 지역구 의원 30%를 컷오프(공천 배제)하는 과정에서 탈락한 의원들이 불복해 논란이 일거나 탈당하는 등 거센 반발에 직면할 공산이 크다.
‘지역구 의원 물갈이’는 보수 통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높다. 변혁 한 의원은 ‘현역 50% 물갈이’에 대해 “밖에서 들어간다는 이유로 컷오프 타깃이 된다면 굳이 한국당과 통합 필요성을 못 느끼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