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이사회는 지난달 27일 우리은행 직원이 거액의 횡령 혐의로 경찰에 긴급체포된 지 한달만에 열리는 첫 이사회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이사회는)우리은행 금융사고와 관련이 없다”며 “정례적으로 하는 주요경영현안 보고를 위한 이사회”라고 말했다.
앞서 우리은행 및 지주 이사진은 횡령 사건이 발생한 이후 합동 간담회를 열고 회사로부터 보고를 받았다. 우리은행 이사진(7명)과 우리금융 이사진(9명) 중 5명(노성태·박상용·윤인섭·정찬형 사외이사와 이원덕 행장)이 같은 이사다.
다만 당시 사외이사들은 횡령 사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지 못해 별 논의는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과 지주 양쪽 이사진에 모두 소속된 한 사외이사는 “직원이 사기를 통해 돈을 빼돌렸다는 설명 외에는 들은 내용이 별로 없다”며 “감독원 검사 결과와 경찰 조사 결과가 나오고 난 뒤에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과 우리금융 이사회가 좀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리은행과 지주의 가장 큰 경영 현안이 횡령 사건인 데다 횡령 규모도 갈수록 커지고 있어서다. 최근 금감원은 검사 과정에서 횡령 직원이 옛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천 공장에 대한 매각 계약금 70억원 중 50억원을 추가로 횡령한 정황을 확인하고 검찰에 통보했다.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 회장은 “우리은행 횡령건은 리스크 관리 차원의 문제로 논의 1순위가 돼야 한다”며 “대책은 나중에 내놓는다고 하더라도 지금 회사 어디에 구멍이 났고 왜 구멍이 났는지 자체적으로 최우선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우리금융 이사회는 관련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우리금융은 4대 금융지주에서 유일하게 내부통제관리위원회를 이사회 내 별도 소위원회로 두고 있어서다. 내부통제관리위는 내부통제체제의 구축 및 운영기준에 관한 사항을 권한으로 하고 그룹사에 대한 내부통제 체계ㆍ운영실태를 점검한다고 돼 있다.
2020년 3월에 신설된 우리금융의 내부통제관리위는 이번 횡령 사건으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횡령 사건은 2012년 2018년까지 이뤄졌지만, 우리은행 내부통제에 그간 아무 문제가 없다고 진단해왔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에서 장기간에 걸친 거액 횡령 사건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회사도 직원의 사기 행위에 당했다는 할 게 아니라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이유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