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국채는 금리 변화와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원·달러 환율이 상승할수록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최 부총리가 미국채를 매입한 지난해는 원달러 환율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던 때이다. 환율이 1400원을 돌파하리란 전망이 쏟아졌고, 특히 연말에는 12.3 비상계엄까지 터지며 1500원선을 위협했다. 지난해 연말 종가 기준 환율은 1472.5원으로 IMF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개인이 환율 상승 시 이득을 보는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원·달러 환율시장을 방어해야 하는 것이 업무 범위인 최 부총리가 이 같은 상품을 매입한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비판이 쏟아졌다.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대한민국 경기 침체에 배팅해 개인 자산 부풀린 투기꾼, 마은혁 재판관 미임명으로 얼마나 더 버실 요량이었나”라며 “나라 팔아 재테크하는 최상목”이라고 적었다.
김태년 민주당 의원은 “국가 위기를 이용하고 국가 경제정책을 사유화한 중대한 직업윤리 위반이다.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직무유기이고, 국민의 신뢰를 저버린 배임”이라며 “나라가 위기일수록 이득을 보는 사람이 어떻게 경제부총리직을 유지할 수 있겠나. 즉각적인 해임만이 답”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부총리가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미국 국채를 샀는지를 두고도 의혹이 제기된다.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하자 환율이 1470원대까지 급등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이원혁 부대변인 이름으로 낸 논평을 통해 “원화 가치를 방어하는 경제 사령관이 원화 가치가 하락할수록 수익을 얻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다니 제정신인가”라며 “원화 가치 추락에 기업과 국민은 등골이 휘어가는데 국무위원이라는 사람이 반대편에 서서 돈을 벌고 있었다니 기가 막히다”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미국 국채를 언제 매수했는지 밝히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