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서울시가 경기도와 맞닿은 사당, 도봉, 수색, 온수 등 외곽 경계지역 12곳에서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개발 억제정책으로 50년 가까이 소외된 곳을 재개발해 환경보전과 도시재생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사당 등 외곽 경계지역 12곳을 ‘서울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을 통해 종합 재생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지역은 현재 폐기물·음식물처리장 같은 기피시설과 불법 건축물이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은 자연대로 훼손됐고 그나마 개발제한이 해제된 곳들도 모두 주거지로만 채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각 지역별 특색을 고려하되 큰 틀에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은 확실하게 자연성을 보존·회복하고, 나머지는 일자리·삶주거·문화가 어우러진 거점으로 3단계에 걸쳐 조성한다.
1단계 사업지의 경우 권역별 균형을 고려해 4개소(권역별 1개소)를 선정하고 큰 방향을 설정했다. △사당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 △도봉 ‘동북권 최대 복합 체육·문화·생태도시’ △수색 ‘첨단 철도물류 거점도시’ △온수 ‘문화와 자연이 함께하는 산업관문’ 등이 기본 방향이다.
우선 사당 일대(사당역~남태령역)에 대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1970년대 문을 닫은 채석장이 그대로 방치되며 안전과 경관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돼 온 곳으로 현재 시는 이 일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중이다. 사당 일대가 전체 유동인구 중 20~30대 비율이 42%일 정도로 청년이 많은 지역이라는 특성에 따라 △일자리 인큐베이터(지식산업센터, 청년창업지원시설 등 총 2만8000㎡ 규모) △청년·신혼부부 주택(200여가구) △문화·활동공간이 집약된 ‘청년특구’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 출·퇴근시간대 교통혼잡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통근·통학버스 정차 문제 해소를 위해 사당역 주변 저류조 상부를 활용해 ‘통근·통학버스 전용 정류장’도 조성 추진한다. 채석장 폐쇄 후 수십 년간 방치됐던 산림 절개지는 산사태 예방을 위한 안정화 작업을 거친 뒤 공공 조경공간으로 관리한다.
시는 나대지와 저이용부지가 많은 관악구 남현동 일대는 공공 주도 개발로 사업의 속력을 내고 서초구 방배동 일대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관리한다는 큰 방향 아래 연내 최적의 사업방식과 범위를 확정한다.
한편 경기도 접경지 12개소 중 4개소(수서·강일·양재·구파발)는 현재 수서역세권 개발사업, 강일 첨단업무단지 등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개별 사업이 진행 중인 만큼 시는 관련 기관과 협력해 관문도시로서 기능까지 동시에 회복한다는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관문도시 사업은 그동안 방치했던 시 외곽의 소외지역을 지역특성에 맞게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자연성을 회복하려는 것”이라며 “서울의 대표 현안인 일자리 문제와 주거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