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18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정치권의 최저임금 인상경쟁과 그 폐해’ 세미나에서 “최근 정치권에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포퓰리즘성 공약이 남발되고 있다”며 “선의에서 시작한 최저임금 인상이 오히려 일자리를 없애는 부작용만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복거일 작가 겸 경제평론가는 기조연설을 통해 “최저임금 인상은 가난한 노동자의 임금 인상 보다는 한계 일자리를 아예 없애는 효과가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결과 빈곤계층은 일자리를 잃어 당장의 어려움을 겪는 반면 일자리를 잃지 않은 사람들의 소득은 느는 불평등한 현상만 초래할 것”이라고 부작용을 지적했다.
|
박기성 성신여대 경제학과 교수(전 한국노동연구원 원장)는 정치권 공약처럼 2017년 최저임금을 시간당 1만원으로 인상시킬 경우 현재 최저임금 6030원과 시간당 1만원 사이에 분포하는 약 618만명 근로자에 대해 최저임금 탄력성을 적용해보면 이들 일자리 중 약 24만개가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일반적인 노동수요 탄력성을 적용할 경우에는 무려 51만 명의 고용감소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박 교수는 “최저임금을 시간당 9000원으로 인상하더라도 감소폭은 덜하지만 약 17만개에서 31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의 상당수가 영세사업장에 있고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약자인 여성·청년·고령층인 상황이라는 점에 우려를 나타냈다. 전체 근로자의 15% 이상인 약 294만 명이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인데 이들 가운데 67%가 9인 이하 영세·소규모 직장에서 일하고 있으며,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의 64%는 여성이라는 것이다. 또 19세 이하 근로자의 66%, 20세에서 24세 근로자의 34%, 60세 이상 근로자의 44%가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
박 교수는 “최저임금이 9000원으로 인상되더라도 경제성장률은 1.11%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라며 “정치권의 최저임금 인상 경쟁은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을 초래해 일자리를 사라지게 만들고 경제성장률마저 추락시킨다는 점에서 점진적인 인상과 함께 부작용이 적은 대안 모색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