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이 정한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 기준을 보면 총 6등급으로 수질을 나누고 있다. 이 중 1, 2, 3등급까지만 생활용수(식수 포함)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수질 중 4등급 물은 ‘농업용수나 고도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5등급 물은 ‘특수한 정수처리 후 공업용수’로, 6등급 물은 ‘용존산소가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렵다’고 해설하고 있다.
부산광역시가 최악의 녹조 상태의 낙동강 원수를 정수해서 식수로 공급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낙동강 원수 취수율이 90%이고, 물을 저장하는 저수시설이나 대체 상수원이 사실상 없기 때문이라고 박 의원측은 설명했다.
부산시가 원수구입비용으로 한국수자원공사에 매년 지급하는 비용은 180억원 가량이다. 올해도 9월까지 120억 8000만원을 지급한 상태다.
박 의원은 “한국수자원공사는 4등급 이하 원수를 공급하면 구입비를 탕감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부산시는 녹조 대량 발생 등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심층 취수탑 건설’, ‘공기부상제거시설 도입’, ‘화명정수장 중염소 도입’ 등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정부에서는 ‘취수다변화 정책’을 추진했지만, 올해 지자체 선거 이후 대구와 구미간 상상 협약이 파기되고 경남과 울산이 메가시티에서 탈퇴해 정책 추진에 난관이 예상된다.
박 의원은 “먹는 물보다 중요한 민생문제는 없다. 공업용수를 먹을 수밖에 없는 부산시민의 고통은 시급하고 중요한 민생과제”라며 “장기적으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정책은 계속 추진돼야 하고, 단기적으로는 시급히 국비를 편성하여 낙동강 녹조 대응 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