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SS 배터리 영업재개 '초읽기'…보험료 급등·책임소재 등 과제도

남궁민관 기자I 2019.07.14 15:29:12

지난달 정부 화재사고 발표 후 영업활동 재개
LG화학·삼성SDI, 하반기 전지 흑자전환 전망
급등한 보험료에 정부 단체보험 출시 준비 중
책임소재 두고 배터리-SI 간 소송도 과제로

이승우(왼쪽 두번째) 국가기술표준원장이 지난달 1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배터리셀 안전인증, 옥외전용건물 설치 유도 등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안전대책 강화방안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연이은 화재사고로 몸살을 앓았던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가 영업재개에 들어갔다. 정부가 지난달 11일 국산 배터리에 직접적 화재원인이 없다고 발표하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됐기 때문이다. 다만 앞선 ESS 화재사고로 인해 보험사들의 구상권 청구 및 보험요율 증가 등 풀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는만큼 점진적 회복이 예상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051910)삼성SDI(006400) 등 국내 주요 ESS 배터리 업체들은 하반기 영업활동을 본격 재개했다. 올들어 현재까지 ESS 배터리 관련 단 한건의 수주도 기록하지 못한 상황이지만, 지난달 정부의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결과 발표 이후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최근 10건 이상의 신규 발주가 추진 중이다.

한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배터리가 ESS 화재원인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면서 불안감이 해소됐고, 영업활동도 재개됐다”며 “보험유율 산정 등 후속작업들이 아직 진행 중인 상황으로 아직 발주는 활발하지 않지만 발주를 위한 준비 작업들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화학과 삼성SDI의 하반기 실적개선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당장 LG화학의 경우 1분기 ESS 관련 충당금으로 800억원을 책정했고, 영업중단에 따라 매출액 손실도 400억원이 발생한 상황이다. 2분기에도 영업중단에 따른 매출액 손실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하반기 ESS 판매 정상화로 실적은 다시 회복 국면에 접어들 전망이다. 함형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LG화학 전지부문은 2분기에도 ESS 관련 일회성 비용 발생과 국내 ESS 판매 감소로 영업손실 760억원을 기록, 적자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하반기에는 국내 ESS 판매 정상화 등으로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지부문은 3분기 1250억원, 4분기 1810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봤다.

삼성SDI의 경우 충당금 설정은 크지 않았지만 영업중단에 따른 손실이 컸다. 마찬가지로 상반기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상황으로, 하반기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ESS 부진은 2분기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하고, 하반기부터 국내 해외 물량을 중심으로 물량 증가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중대형전지 영업이익 추이를 살펴보면 올해 1, 2분기 각각 1205억원, 1089억원의 영업손실에서 3, 4분기 각각 200억원으로 흑자전환할 것으로 봤다.

다만 정부와 업계 모두 풀어야 할 과제도 있다. 우선 2017년 8월 이후 23건에 이르는 ESS 화재사고로 ESS 관련 보험료가 4배 이상 오른 상황. 정부의 발표 이후에도 발주가 바로 이뤄지지 않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보험사들과 함께 급등한 보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단체 보험 개발에 나섰으며, 3분기 내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보험사들의 구상권 청구 소송에 직면할 전망이다. 이미 삼성화재는 LG화학을 상대로 구상권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삼성화재는 ESS 화재로 인해 보험 가입자들에게 보상액을 지급했으며, 화재 원인이 LG화학에 있다고 판단하고 구상권을 청구한 것. 다른 보험사들 역시 LG화학은 물론 삼성SDI를 상대로 구상권 청구가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각사는 소송에 따른 재판에서 배터리가 화재 원인이 아니라는 점을 입증해야하는 부담스러운 과제를 안은 셈이다.

책임 소재 관련 배터리와 SI(시스템통합)업체 간 소송전 가능성도 높다. 앞서 김정훈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 위원장은 “외부 전압으로부터 보호체계가 제대로 안돼 있어 화재가 발생했다는 측면에서 배터리 제조사, SI 등 복합적으로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며 “책임 공방은 그쪽에서 알아서 할 문제다. 특정업체 책임을 묻는다면 결국 법정에서 가려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