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해외의존도 64%…K배터리 패권 사수, '소재 독립'에 달렸다

함정선 기자I 2021.10.11 19:19:28

갈 길 먼 'K배터리'①
전기차 생산·수요 급증하며 배터리 시장 급성장 전망
K배터리 완제품에서는 선두이나 소재·원자재 취약
기업들 소재 산업 육성, 원자재 확보 적극 나섰지만
정부의 산업외교, 기초연구 육성 등 정책 다변화 필요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이 가속화하고 이에 따른 전기차 생산과 수요가 급증하며 ‘K배터리’의 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 시장규모 확대에 따라 배터리 수요 역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의 국내 배터리 산업 구조로는 자칫 배터리 시장의 패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전망 때문이다. 국내 배터리 산업은 완제품 분야에서는 글로벌 선두주자의 위치에 있으나 배터리를 구성하는 핵심 소재와 원자재의 경우 해외 의존도가 커 산업 자체의 경쟁력이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특히 지난 7월 정부가 ‘K-배터리 발전 전략’을 발표하고 연구개발(R&D) 지원 강화, 인력 양성, 수요 산업군 발굴·양성 등을 추진하곤 있지만 업계에선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작 배터리 산업이 근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려는 정책이나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핵심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의 해외 의존도는 평균 63.9%에 이른다. 배터리 소재의 원가구조 비중이 44%로 가장 높은 양극재의 경우 해외 의존도는 50%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2019년 47.2% 대비 의존도가 더 커졌다.

(그래픽=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 때문에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K배터리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한국은 전 세계 충전용 배터리 생산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지만 원재료 등을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무역 갈등이나 지정학적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위기감을 느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최근 잇따라 소재 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미래 준비에 나섰으나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배터리 소재를 구성하는 리튬과 니켈, 코발트 등 원자재 가격이 1년 사이 5배가 오르는 등 치솟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사실상 대부분 중지된 상태다. 정부가 나서 소재의 안정적인 구축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외교적 역량을 쏟아부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이와 함께 배터리 관련 인력 부족과 기초 연구개발(R&D) 미흡에 대해서도 정부가 기존의 정책을 바꿔 더욱 적극적으로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인력의 경우 5개 대학에서 매년 1100명 수준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규모로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정부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상황이며 지금까지 방법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위기를 인지하고 산업외교와 인력 양성, 기초연구 등에 제대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