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韓 국회의원 학력 가장 높은 나라"…3명 중 1명 '박사'

최오현 기자I 2024.11.16 13:22:11

우크라이나, 대만, 슬로베니아, 몽골 뒤이어

[이데일리 최오현 기자] 세계 97개국 의회 의원들의 학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이 가장 높은 학력 수준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8회 국회(정기회) 제7차 본회의에서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의원들의 자리가 많이 비어 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듀크대 등 6개 대학 연구진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97개국 의회 의원들의 교육 수준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결과에 따르면 한국 국회의원 중 박사학위 소지자는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인구 200만 명 이상인 56개국 중에서 박사 학위 소지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 국회의원들의 학력 분포는 박사, 석사, 학사가 각각 3분의 1 수준으로 고르게 분포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뒤를 이어 우크라이나, 대만, 슬로베니아, 몽골, 루마니아, 폴란드, 체코 등도 의원의 박사학위 보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의원의 4분의 1을 넘지는 못했다.

56개국 중 석사 학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우크라이나로 조사됐다. 우크라이나는 1991년 옛 소련에서 독립한 이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현 대통령을 제외한 모든 역대 대통령이 박사학위를 보유했을 정도로 고학력이 정계 진출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은 박사학위 소지자는 적은 편이나, 의원 3분의 2 이상이 석사학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이탈리아, 노르웨이, 영국 등은 중등학교 학력 의원 비율이 4분의 1에 육박했다.

전체적으로 97개국 의원들의 평균 학력을 보면 78%가 학사학위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40%는 석사학위 소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는 “정권이 바뀌어도 정치 입문 경로는 크게 변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논문 데이터는 현재의 현실도 반영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