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G7 무역 담당 장관들은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회의 후 성명을 통해 “우리는 경제적 의존도를 무기화하려는 행동을 개탄하며, 자유롭고 공정하며 상호이익이 되는 경제·무역 관계를 구축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G7이 성명에서 중국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무역을 통한 중국의 강압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비판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일본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원전)에서 오염수를 방류한 이후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수입 규제를 즉각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중국은 지난 8월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선언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는 지난 28일 일본 지지통신을 인용해 “9월 일본의 중국 본토 수산물 수출이 1년 전보다 99.3% 급감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GT는 “(중국 내) 많은 일식 식당들은 더 이상 일본 재료들을 사용하지 않는다”며 “일본이 오염된 물을 버리기 시작한 이후 고객들은 해산물에 대해 더 경계하게 됐다”고 전했다.
일본산 수입물 금지는 러시아도 동참했다. 일본을 비롯해 미국 등은 이런 조치가 불공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G7은 중국의 주요 광물 수출 통제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세계 최대 흑연 생산국인 중국은 미국측의 반도체 수출 제한에 대응해 흑연·니켈 등의 수출을 규제하고 있다. 흑연·니켈 등은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원료다.
이번 회의 주최국인 일본의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은 ”주요 광물, 반도체, 배터리에 대해 탄력적이고 신뢰할만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전적으로 동의했다“며 “G7 장관들이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필요성을 공유한 것”이라고 밝혔다.
G7은 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인프라를 파괴하고 흑해를 통해 밀 등을 수출토록 허용한 일명 ‘흑해 협정’을 일방적으로 탈퇴한 것을 비난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회의에서 G7 장관들은 중동 위기를 언급하지 않고 “자연재해 등에서 인도주의 물품이 국경을 넘어 이동하는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려고 노력한다”고만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앞서 2주 전 열린 G7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을 테러라고 비판한 바 있다. 로이터는 “서방 국가들은 대체로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지지했지만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인한 인명 피해에 대한 국제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