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보경 기자] “내기를 해도 좋다. 가장 간편한 결제방식이기 때문에 제로페이는 보편화될 수 밖에 없다. 훨씬 빠른 속도로 정착될 것이다.”(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서 박원순 시장)
“한 달간 제로페이 결제는 단 한 건도 없었다. 시청에서 하도 하라고 하길래 가맹점도 신청했다. 제로페이를 물어보는 사람도 기자들 뿐이다”(지난 18일 서울광장 지하상가 상인)
서울시가 소상공인의 결제수수료 부담을 제로(0)%까지 낮춘 제로페이를 시범 도입한 지도 한 달이 지났다. 박원순 시장의 제로페이 성공 확신과는 달리 시청 주변 상가에서도 제로페이 결제 건수는 미비한 수준이다. 가맹점 수는 서비스를 시작할 당시보다 늘어났지만 아직도 서울 소상공인의 8% 수준이다. 다만 서울시가 법인용 제로페이 출시와 구매자의 스마트폰 앱에서 QR코드를 스캔하는 방식을 추가로 도입할 계획인 만큼 이용실적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 소상공인 가맹점 신청 10% 미만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제로페이 가맹 신청을 한 소상공인 사업체는 약 5만4000여개로 서울 전체 소상공인 사업체(66만개)의 8% 정도에 불과한 상황이다. 제로페이 출범 당시 2만여곳에 비해서는 두 배 이상으로 늘었지만 아직도 10%에 못미치고 있다. 가맹점 수와 별개인 이용실적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서울시는 시범운영 한 달간 이용실적이 유의미한 데이터가 아니라며 공개를 꺼리고 있다.
서울시는 시정 4개년 계획에서 제로페이 이용액을 올해 8조5300억원, 2020년 17조601억원, 2021년 28조4336억원, 2022년 42조6504억원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지난 18일 시청 주변인 서울광장 지하상가를 돌아다녀 본 결과 결제건이 아예 없다는 상점이 대부분이고 있는 곳도 한달 간 2~3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오는 3월 본사업이 시행되면 주요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제로페이를 시작하기 때문에 급격히 가맹점과 이용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3일 26개 프랜차이즈 본사와 제로페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기존 프랜차이즈 외에 편의점, 커피숍 등과도 가맹점 확대를 논의 중이다.
◇업무추진비도 제로페이로…법인용 사용처 확대
서울시는 제로페이를 법인용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시금고인 신한은행과 함께 개발, 4월에는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가맹점을 늘려도 이용실적 확대는 자신할 수 없는 터라 서울시 자체적으로 제로페이로 돌려 사용할 수 있는 비용을 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우선 시청이나 구청에서 사용하는 업무추진비 등 일상적인 경비, 공무원 복지포인트 일부를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어린이집 등에 지급하는 운영 보조금을 제로페이로 결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법인용 제로페이 사용액이 늘면 제로페이에 가입하는 소상공인도 대폭 늘어날 것이라는 게 서울시의 계산이다. 이밖에도 서울대공원 입장료,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료, 공공주차장 이용료 등에도 제로페이 할인을 적용해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3월부터는 결제방식 좀 더 간편하게
결제방식도 좀 더 간편하게 개편한다. 현재 제로페이는 소비자가 직접 결제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계산대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고 결제금액도 입력해야 한다. 박 시장은 “세상 가장 간편한 결제방식”이라고 강조했지만 신용카드만 주면 알아서 계산해주거나 스마트폰만 갖다대면 결제를 해주는 카카오페이와 비교할때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다만 3월부터는 제로페이도 소비자가 스마트폰에 QR코드를 생성해 계산대에 넘겨주면 직원이 포스기(전산입력판매시스템)로 이를 스캔하면 바로 결제가 되는 간편결제가 가능해진다. 매장에서도 포스기 연동으로 매출을 따로 집계하지 않아도 된다. 시범기간 동안은 포스기와 연동되지 않고 계좌로 직접 송금돼 매출을 별도로 산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결제방식을 간편하게 하고 법인용 사용을 늘리면 제로페이 가맹점을 저절로 확산하게 된다”며 “가맹점 규모와 이용실적이 어느 정도 구축되면 부가서비스는 결제사업자들의 경쟁으로 다양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