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대형화 설문)②우리금융 합병 `30%`>분산매각 `20%`

이준기 기자I 2010.05.24 12:24:00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분산매각도 12.5%
합병 대상으론 하나금융이 KB금융 앞서
최대 우려 요인, 정치적 판단 개입
<이데일리 금융전문가 43명 설문 조사>

[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금융 전문가들은 우리금융지주(053000) 민영화 방식과 관련, `지주사간 합병`에 가장 많은 표를 던졌으나 `자회사 분리 매각`, `지분 분산 매각` 등 다른 방식을 합리적인 방안으로 꼽은 비중도 적지 않았다. 우리금융의 민영화를 합병 방식으로 진행할 경우 그 대상으로는 하나금융지주(086790)가 적합하다는 응답이 KB금융(105560)지주를 앞섰다.    

전문가들은 또 우리금융의 민영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가치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나 `빠른 민영화` 보다는 `금융산업 발전방향`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었다.  

◇ 우리금융 민영화 합병>분리매각>분산매각..대상은 하나-KB 양강 구도

이데일리가 24일 주요 시중은행 전략담당 임원을 비롯해 경제학 교수와 연구원, 경제부처 전·현직 공무원, 증권가 애널리스트 등 금융권 전문가 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중 30%가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해 `지주사간 합병`이 가장 합리적 방식이라는 견해를 내놨다. 
 

그러나 자회사 분리 매각(20%), 국민주 방식 매각(15%), 국민연금 등으로의 분산 매각(12.5%) 등도 적지 않은 표를 얻었다. 우리금융의 민영화 방식과 관련한 대세론이 아직 부각되지 않았다는 반증이다.  

지주사간 합병 방안을 가장 합리적이라고 꼽은 답변은 증권사 애널리스트(62.5%)와 전현직 공무원(37.5%) 집단에서 비교적 높게 나왔다.
 
반면 경제학 교수와 연구원들은 국민주 매각 방식(36.4%)을 가장 선호했다. 은행 임원들은 합병(23.1%)과 국민주 매각방식(23.1%)으로 의견이 갈렸다.

답변을 하지 않은 전문가들은 `충분한 시간을 갖고 결정해야 한다`는 유보적 의견을 많이 내놨다. 한 은행 임원은 "국제 금융규제안이 나오면 철저한 대응책을 마련한 뒤 민영화 방식을 결정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우리금융과의 합병 대상을 묻는 질문에는 하나금융지주(46.7%)가 KB금융지주(33.3%)보다 다소 많은 표를 받았다. 

KB지주를 꼽은 전문가들은 `대형화를 통한 글로벌은행을 지향해야 하기 때문`이란 의견을 많이 제시했다.  
 
반면 하나지주와의 합병을 택한 전문가들은 구조조정을 최소화하고 3대 은행(KB, 신한, 우리+하나)간 적절한 경쟁 구도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의견들을 갖고 있었다.  

◇ `금융사업 발전 방향` 우선 고려..2년내 마무리해야

 

금융 전문가 83.3%는 금융지주회사법이 정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빠른 민영화`, `금융산업 발전방향` 등 우리금융 민영화의 3대 원칙 중 `금융산업 발전방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빠른 민영화(14.3%)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2.1%)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한 시중은행 전략담당 임원은 "공적자금 회수에 큰 비중을 두면 적절한 금융 산업 구도가 깨질 수 있다"며 "무엇보다도 금융산업을 위한 민영화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모두 전·현직 공무원이었다.

우리금융 민영화 시기와 관련해선 `향후 1~2년내 완료하면 된다`(55.8%)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올해 안에 가시적인 성과가 반드시 나와야 한다`(32.6%)는 응답을 합하면 향후 2년내 완료해야 한다는 의견은 88.4%를 기록했다. 반면 민영화에 반대한다는 의견은 2.3%에 그쳤다.

한 증권 애널리스트는 "수년간 끌어온 문제이기 때문에 조기에 성과를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한에 이끌려 졸속으로 결정하게 되면 장기적으로 은행산업은 물론 경제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며 "향후 1~2년내에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정치적 판단-불투명한 절차 `우려` 

금융 전문가의 절반 이상(53%)은 `정치적 판단에 따른 결정`을 우리금융 민영화 정책의 최대 걸림돌로 꼽았다. 이어 불투명한 절차(16.7%)와 촉박한 일정(15.2%), 정부 개입 가능성(10.6%)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전·현직 공무원들도 절반 가량(46.2%)이 정치적 판단에 따른 결정을 가장 우려되는 요인이라고 답변했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민영화 문제는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아닌 시장 자율로 해결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학계 인사는 "매각수익 극대화라는 재정정책적 목적과 건전한 소유지배구조 창출이라는 금융정책적 목표는 근본적으로 양립하기 어렵다"면서 "이 두 목적의 충돌에 대한 정치적 우선순위 결정 없이 매각을 추진하기 때문에 민영화가 지연되고 있는 것이며 경영권 프리미엄을 지불할 수 있는 지배적 대주주를 찾아 매각수익을 극대화하겠다는 목적을 포기해야 매각의 현실적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진단 ! 은행대형화

- 함준호 교수 "대출경쟁 할 바엔 은행간 M&A가 바람직" - (은행대형화 설문)④이데일리 설문조사 항목별 결과 - (은행대형화 설문)③산은 민영화 現방식 찬성 `68%`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