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핵실험장 자진 폭파한 北, 미사일 실험장 폐쇄는 추가 논의?

김관용 기자I 2018.07.08 17:10:26

폼페이오, 北 엔진실험장 폐쇄 위한 실무 접촉 예고
장거리 로켓의 평화적 이용 문제 논의할 듯
유해 송환 관련 협의도 진행…''대가'' 협상 나설듯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의 방북을 계기로 주춤했던 미군 유해 송환과 북한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쇄 논의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북한 비핵화의 선제조치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12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사항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번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과의 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미 국방부 팀이 미군 송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2일께 북측 관계자들과 남북한 경계(판문점)에서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의 엔진 실험시설 폐쇄에 대한 실무 접촉도 곧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미군 측은 지난 달 23일 유해 송환을 위한 100여개의 나무로 된 임시 운송 케이스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으로 이송한바 있다. 또 오산 미군기지에서 하와이까지 유해 이송시 필요한 158개의 금속관도 서울 용산에서 오산기지로 옮겼다. 유해 송환이 임박한 것으로 해석된 이유다.

하지만 북한이 임시 운송 케이스를 넘겨 받았는지는 아직 불명확하다. 이후 관련 절차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이 유해 송환을 미루는 이유는 미국 측이 대가를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은 1990년대 북한에서 유해 발굴 사업을 진행하면서 2800만 달러(약 313억 원)를 발굴 및 운구 비용으로 북한에 지불한 바 있다. 이에 따라 12일 미 국방부 관계자와 북한 측 실무자들이 만나 비용 문제와 송환 절차 등을 협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쇄 관련 실무 접촉도 관심사다. 풍계리 핵실험장과는 다르게 미사일 엔진실험장 폐기는 추가 논의의 필요성이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북제재 해제 등의 ‘대가’ 뿐 아니라 장거리 로켓의 평화적 이용 문제가 화두가 될 것이라는게 군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이 폐쇄를 약속한 미사일 엔진실험장은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미사일 발사장으로 알려졌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으로 평가받는 ‘화성-14형’과 ‘화성-15형’의 ‘백두산 엔진’을 개발한 곳이다. 3단 로켓 추진체를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조립 건물도 있다.

2012년 12월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서해위성발사장’에서의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모습이다. [사진=연합뉴스]
기술적으로 인공위성을 위한 발사체와 장거리 미사일 로켓은 동일하다. 로켓에 탄두를 장착하면 탄도미사일이 되고 위성을 탑재하면 우주발사체가 된다. 북한이 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을 서해위성발사장으로 부르는 이유다. 실제로 북한은 발사장 완공 3년만인 2012년 4월 이곳에서 광명성 3호 ‘위성’이 실린 은하 3호 로켓을 발사한바 있다. 북한은 2016년 2월 장거리 로켓 ‘광명성 4호’를 쏘아올릴 때까지도 이를 장거리 미사일이라고 칭하지 않고 인공위성 발사였다고 주장했다. 2016년 9월 동창리 발사장에서 진행된 백두산 엔진의 지상 분출 시험도 ‘새형 정지위성 운반 로켓용 대출력 발동기 지상분출 시험’이라고 강조한바 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장거리 로켓의 평화적 이용 문제를 거론할 경우 추가 사찰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북미 간 협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간 맺은 원자력협정이나 미사일 지침 같은 별도의 약속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한국은 현재 관련 협정에 따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와 우라늄 농축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 탄두중량 제한은 해제됐지만, 미사일 사거리는 여전히 800km 이하로 묶여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