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은, 올해 물가상승률 4.5%로 상향…성장률 2.7%로 하향(상보)

최정희 기자I 2022.05.26 09:51:30

한은,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한 1.75%
물가, 작년 11월 2.0%→올 2월 3.1%→4.5%로 상향
내년 물가상승률 2.9%....3년 연속 목표치 상회
올해 성장률 0.3%포인트 하향…내년 2.5%서 2.4%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물가상승률을 4.5%로 상향 조정했다. 석 달 전보다 무려 1.4%포인트 높였다. 전망이 현실화된다면 2008년(4.7%) 이후 14년 만에 최고치다. 내년 물가상승률도 2.9%로 상향 조정돼 3년 연속 물가목표치(2.0%)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됐다.

올해 경제성장률은 3.0%에서 2.7%로 내리고 내년 성장률 또한 2.5%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성장률은 하향 조정되고 물가는 상향 조정되면서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질 전망이다.

*4월 이후 전망 기준. 6개 기관의 중간값은 2.6%, 4.0%
(출처: 각 기관)
한국은행은 26일 처음으로 이창용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연 1.75%로 결정했다. 기준금리가 금리 인하기 직전인 2019년 6월 수준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한은이 4월에 이어 5월 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역사상 세 번째 ‘연속 인상’을 실시한 가장 큰 이유는 ‘물가’ 때문이다.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물가상승률을 4.5%로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작년 11월부터 물가 전망치를 수차례 상향 조정해왔다. 작년 11월엔 2.0%로 전망했다가 올 1월엔 2%중후반으로 작년(2.5%)보다 높을 것이라고 언급했고 2월엔 3.1%로 상향 조정했다. 그리고 이번에 또 다시 1.4%포인트 추가 상향 조정한 것이다. 7개월간 물가 전망치가 2.5%포인트 높아졌다.

한은의 올해 물가 전망치 4.5%는 이데일리가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경제연구소 연구원 1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올해 물가상승률을 4.2%(중간값)로 전망한 것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다. 4월 이후 공개된 국제통화기금(IMF) 등 6개 주요 전망 기관들의 물가상승률 전망치 4.0%(중간값)보다 훨씬 높다.

물가상승세는 언제쯤이면 잠잠해질까. 한은은 내년 물가상승률도 2.0%에서 2.9%로 0.9%포인트나 상향 조정했다. 물가상승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란 방증이다. 한은 전망대로 라면 작년(2.5%)부터 3년 연속 물가상승률이 목표치(2.0%)를 웃돌게 된다.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두바이유가 연초 이후 40%, 천연가스가 140% 가량 오르는 등 에너지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고 밀, 옥수수, 대두 등 곡물 가격도 30~50%대 가량 급등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중국이 지역 봉쇄 조치에 나서면서 물류 적체 등에 물류비도 또 다시 들썩이고 있다. 원가 부담이 높아진 부분들이 외식비, 가공식품 등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4월 물가상승률은 4.8%를 기록했고 여름께 5~6%대 물가상승률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날 물가 전망치만큼 관심을 받은 것은 성장률 전망이다. 한은이 얼마나 금리를 올릴 수 있는 여력이 되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은은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3.0%, 2.5%에서 2.7%, 2.4%로 각각 0.3%포인트,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이데일리의 전문가 설문 결과(2.8%)보다 낮지만 주요 전망기관의 숫자보다는 높다. IMF 등 6개 전망 기관의 성장률 전망치는 2.6%(중간값)로 집계됐다.

미국, 중국, 유럽 등 우리나라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면서 성장률은 상방보다는 하방 위험이 커진 상황이다. 반면 물가는 상방 위험이 더 커짐에 따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한층 더 깊어질 전망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25일 한국경제연구원 주최의 세미나에서 “한국은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결합된 스태그플레이션이 이미 진행되고 있다”면서 “전형적인 공급비용 상승 충격이 유발한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