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총리는 “작년 발리 G20 회의에서 양국 정상끼리 합의한 바와 같이 한중 관계는 상호 존중, 호혜 및 공동 이익에 따라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를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시 주석은 “한중 양국이 이사 갈 수 없는 좋은 이웃으로서 앞으로도 한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계속 발전시켜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특히 비공개 회담에선 시 주석이 한 총리에게 먼저 “방한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고 외교부 고위당국자가 전했다. 시 주석은 2018년 이후 중단된 한중일 정상회의가 적절한 시기에 재개되길 바란다는 뜻도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의 한국 방문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지난 2014년 7월 국빈 방한이 마지막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임기 중인 2017년 12월과 2019년 12월 두 차례 중국을 방문한 후 시 주석을 초청했지만,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한미일 3국 공조 강화로 후순위로 밀리는 듯했던 한중간 교류는 최근 정상급 인사들의 연이은 만남을 계기로 재개되는 분위기다.
시 주석의 방한이 성사되면 2016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후 이어진 양국 갈등이 해소된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또 무기 거래를 고리로 밀착하는 북러 관계에 견제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양자회담에서 한 총리는 우리측의 담대한 구상과 최근 한반도 관련 정세 등을 시 주석에게 설명하며 “중국이 계속 건설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시 주석은 “남북 양측의 화해와 협력을 일관되게 지지한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우리 정부가 연내 개최를 추진하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토대로 시 주석의 방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 2019년 12월 중국 청두 정상회의를 끝으로 4년 간 열리지 않고 있다. 중국은 그간 3국 정상회의에 관례적으로 총리를 보내왔다.
시 주석은 한 총리와의 면담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평가하고 “적절한 시기에 개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다만 중국 외교부가 공개한 회담 결과 발표문에는 시 주석의 방한 언급과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등은 제외됐다.
한편 시 주석은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지지해 달라는 한 총리의 당부에도 “진지하게 검토하겠다”며 긍정적으로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