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AFP·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은 3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했다. 이번 회의 요청에는 영국과 프랑스도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 시간은 2월 안보리 의장국인 러시아가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번 미국의 회의 요청은 북한이 지난달 30일 자강도 무평리 일대에서 동쪽 동해상으로 ‘화성-12형’을 발사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화성-12형은 미군 주요 전략자산들이 배치된 괌까지 타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아 국제사회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파르한 하크 유엔 부대변인을 통해 배포한 성명에서 “이번 발사는 지난 2018년 북한이 선언한 이런 종류의 발사에 대한 모라토리엄(유예 조치) 위반이자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규탄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 IRBM 발사에 대한 국제사회 반응을 지켜본 뒤, 조만간 ICBM을 시험발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달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개최한 정치국 회의에서 2018년 4월 선언했던 핵실험·ICBM 발사 모라토리엄(유예)을 철회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미국이 대북 추가 제재에 나서면 북한은 미 본토 서부지역을 타격할 수 있는 ICBM ‘화성-14형’ 검수사격시험을 진행한 후, 미 동부 백악관까지 닿는 화성-15형 검수사격시험을 진행할지 결정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그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우려’ 입장을 반복했던 청와대도 북한이 IRBM을 쏘자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응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30일 1년여 만에 NSC 전체회의를 열어 “2017년도에 중거리탄도미사일 발사에서 장거리탄도미사일 발사로 이어지면서 긴장이 고조되던 시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 외교적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대한 도전”이라고 강조했다.
외교·안보부처도 최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를 엄중히 인식하고 대응에 분주하다. 외교부는 2일 최종건 1차관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森健良)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전화 통화를 해 한반도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이 긴장 고조 행위를 중단하고 대화의 길로 나올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도 대응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지난 31일 우리 군의 탄도·순항미사일을 운용하는 육군 미사일사령부를 전격 방문해 “작전수행절차 점검 및 훈련을 통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실행력을 제고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