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보험연구원의 ‘금리 상승이 보험회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생명보험 신(新)계약에서 저축성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1월 8.2%에서 올해 3월 13.6%로 5.4%포인트 늘어났다.
그간 저축성보험은 저금리 시대가 지속함에 따라 판매 비중이 계속 떨어져 장기간 10% 아래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7월 10%를 넘긴 뒤 꾸준히 증가한 것이다.
특히 저축성보험의 경쟁 상품인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와 1%포인트 이상 차이가 나면서 저축성보험을 찾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었다. 실제 저축성보험의 공시기준이율(공시이율의 대푯값)과 정기예금이자율의 차이는 지난해 1∼5월에 0.8∼0.9%포인트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10월에 1.0%포인트, 올해 3월에는 1.2%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올해 3월 기준으로 저축성보험 공시기준이율은 2.1%이고 정기예금이자율은 0.9% 수준이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해 7월 연 1.296%에서 올해 4월 연 2.123%로 상승했다.
노건엽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축성보험의 비중 증가는 공시기준이율과 정기예금이율의 차이가 1%포인트 이상으로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보험연구원은 금리상승이 보험사 지급여력(RBC) 비율 등 건전성 측면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행 보험부채 평가는 원가방식이다. 금리가 상승하면 부채 감소 없이 자본만 감소해 RBC비율이 하락한다는 것이다.
특히 보험연구원은 보험사들이 RBC 비율을 높이기 위해 신종자본증권, 후순위채 등을 발행하면 금리 상승 시 높은 이자비용을 부담하게 돼 이익이 감소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실제 보험사의 2020년 말 운용자산이익률은 3.1%이나 최근 발행된 보험회사 후순위채 이율은 3.3~4.8%로 운용자산이익률보다 높은 이자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노 연구위원은 “금리 상승에 따른 건전성의 부정적 영향 해소를 위해서는 부채 구조조정을 통한 근본적인 자본관리 방안이 요구된다”며 “계약 이전, 계약 재매입, 공동재보험 등을 활용한 부채 구조조정은 초기 비용이 발생하지만 금리 상승기에 활용한다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금리 변화에 따른 근본적인 자본관리가 가능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