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값 인상설의 진원은 국내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현대차(005380)이다. 현대차는 그동안 원자재가격의 상승분을 환율효과로 상쇄하면서 가격을 올리지 않았다.
그러나 국제 유가와 원자재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원가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일각에선 한계상황에 다달았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때마침 이구택 포스코(005490) 회장의 `철강값 인상` 발언 도 차값 인상설에 힘을 실어주는 형국이다.
다만 임금협상 시기 노조와 마찰을 빚고 있는 터에 차값 인상에 따른 소비자 불만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부담이 적지 않다.
◇ 차값 인상 본격검토.."인상요인 충분"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차값 인상을 본격 검토키로 방침을 세웠다. 현대차는 이미 실무선에서 몇 차례 가격 인상안을 검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태환 현대차 부사장(재경본부장)도 지난 4월 1분기 기업설명회(IR)에서 "철판값이 36% 오르고 기타 금속 가격이 15~20% 상승해 원가 부담이 7500억원 늘었다"며 고충을 털어놓은 바 있다.
현대차는 포스코가 사실상 철강값 인상을 밝힌 마당에 조만간 철판 가격이 대폭 올라 원가부담은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인상요인이 충분히 생겼다는 얘기다.
|
시장 전문가들은 현대차가 구체적인 차값인상을 저울질하고 있다면 포스코의 철강값 인상폭이나 인상액 등이 정해진 뒤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르면 다음달쯤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이다.
이상현 하나대투증권 애널리스트는 "국내자동차 업체들이 공개적으로 차값 인상을 발표한 적이 없다"며 "가격을 올린다면 라인업이나 옵션 조정 등을 통해 평균판매가격(ASP)을 끌어올리는 방법을 동원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차값 인상없다" 호언..`소비자 전가` 비판 가능성
현대차는 그동안 원자재값 상승에 따른 차값 인상 계획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상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내부 원가절감 노력등을 꾀해 차량가격에 전가시키지 않을 것임을 수차례 밝혔다.
그러나 이를 뒤집어 가격을 올릴 경우 원자재 가격의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그대로 떠넘긴다는 거센 비판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내수·수출 차량의 가격차이 등에 따른 소비자반감도 해묵은 문제이긴 하지만,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선 앞으로 환율효과의 수혜가 축소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즉 환율효과가 축소되는 반면 원자재를 들여오는데 따른 비용이 계속해서 늘어날 경우 현대차로선 가격인상 압박을 점차 크게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 관련기사 ◀
☞OECD장관회의 IT대표단 `에쿠스` 탄다
☞현대차 북미공장 `싼타페` 생산성 1위
☞현대차, 서울시에 친환경버스 7748대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