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양미영기자] 정부가 치솟는 물가에 성난 민심을 잡기 위해 평소보다 강도 높은 대책을 내놓자 외국계 증권사들이 큰 관심을 보이며 수혜주 찾기가 한창이다.
여기에 미분양 대책도 조만간 발표될 예정에 있어 이로 인해 덕을 볼만한 종목 분석도 활발하다.
다만, 정부 정책에 따른 반작용이나 실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경계론도 맞서고 있어 실제 기업이익에 얼마나 기여할 지 여부를 잘 따져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고유가 대책에 `반색`..내수주·대체에너지주 주목
지난 주말 정부가 내놓은 고유가 대책은 내실도 내실이지만 예상보다 큰 재정지원 규모가 더 주목을 받았다. 평소보다 높은 강도로 마련되면서 정부 의지를 확인했고 이에 따른 시장 파급력도 클 것이라는 기대도 나왔다.
이에 따라 물가 폭등으로 금리인하 기대가 무산되는 가운데 웃고 울었던 내수주들이 다시 수혜주로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대체에너지 등 고유가 수혜주들도 정부 혜택 기대로 탄력을 더할 조짐이다.
지난 9일 골드만삭스는 정부가 내놓은 고유가 대책이 기존 예상의 두배를 웃도는 수준에서 마련됐다며 국내총생산(GDP)의 1%가 넘는 재정이 투입되면서 관련 기업들로의 파급 효과를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중소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매 아울렛업체와 중소기업 및 가계 익스포져가 큰 은행들의 주요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고유가 대책으로 대체에너지 관련주들도 더욱 탄력을 반을 것으로 전망됐다. UBS증권은 대체에너지 기업에 대한 감세 혜택이나 보조금 지원 가능성을 감안할 때 관련 기업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특히 바이오연료보다는 풍력 에너지 관련주를, 풍력보다는 태양광에너지를 상대적으로 선호한다고 밝혔다.
태양광의 경우 장기적으로 한국 기업들이 경쟁적일 것이나, 바이오연료의 경우 식품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압박에 직면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동양제철화학과 LG에 대해 매수 의견을, KCC에 대해 중립 의견을 제시했다.
◇ 미분양 대책도 관심권..건설 은행 등 내수주 또 부각
고유가 대책에 이어 내주쯤 정부가 내놓을 미분양 대책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 역시 내수주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부분이다.
BNP파리바는 "정부가 유가 급등과 미분양 아파트 증가로 10조원에 달하는 재정지원과 함께 미분양 아파트 대책을 내놓을 전망"이라며 "재정지원에 더해 부동산 규제나 금융 규제 완화가 예상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에 따라 건설과 은행주에 특히 긍정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건설주로는 대림산업(000210)과 GS건설, 현대건설을 추천하고 건설과 부동산과 관련된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큰 신한지주와 우리금융, 대구은행 등도 추천주로 꼽았다.
특히 건설주의 경우 2008년 주가수익비율(PER)은 16.5배, 주가자산비율(P/BV)은 2.1배에서 거래되면서 2007년 중반이후 가장 저평가 돼 있으며 은행 역시 지속적으로 적정가치 수준을 밑돌고 있다고 설명했다.
맥쿼리증권도 "지방 미분양 대책이 시장 기대에 부합한다면 중소건설사들에게 긍정적"이라며 "대우건설이나 태영건설 등이 지방 분양시장 익스포저가 크다"고 설명했다.
◇ 효과는 글쎄.."임시방편" 쓴소리도
다만, 일부에서는 정책 효과는 물론 수혜종목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경계론도 내놓고 있다.
최근 내놓은 대책들이 쇠고기 정국을 타개하기 위한 성격 역시 강한데다 실질적인 수혜 여부를 가늠하기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골드만삭스는 "고유가 대책이 최근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국민들의 증폭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규모를 예상보다 크게 가져간 것으로 보인다"며 인플레이션 압력은 물론 고유가가 내년에도 지속될 경우 정부의 재정 지속성이 훼손될 수 있는 리스크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득별 유가환급금이 차등지급되면서 수혜가 예상되는 내수섹터 역시 상위그룹군은 수혜가 제한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메릴린치 역시 "이번 정부대책이 소비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될 것"이라며 "정부의 세금환급 규모가 유례 없는 수준이고, 경기부양과 물가 안정화 의지를 강하게 보여주긴 했지만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단기적인 부양 효과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메릴린치는 "이번 조치는 시장 불확실성을 제거하기엔 미흡해 보이고, 물가 우려가 완화되지 않는한 내수 소비를 확장시키기에도 불충분하다"며 "장기적인 경제 펀더멘털 변화에 드라이브를 걸기보다는 민심을 달래기 위한 임시방편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 관련기사 ◀
☞`에너지 절약형` 아파트 뜬다
☞증권사 추천 제외 종목(3일)